2025.06.1315:36

PA는 전공의 수련에 어떤 영향 미치나…'단순 업무 줄어 기회' VS '역할 중첩으로 수련 기회 박탈'

의학회 학술대회서 간호법 시행에 의학계 내 여러 우려 목소리 제기…'업무범위 명확화·전공의 우선 술기 참여' 담보시 긍정적 주장도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간호법 시행이 오히려 전공의 수련 시스템에 중대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공의 교육의 질을 최우선으로 보호하면서 PA를 관리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전공의들의 단순 업무가 줄면서 간호법 시행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PA와 전공의의 역할 중첩과 더불어 교육 기회 박탈 등 수련 과정에서 여러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 역시 다수 제기됐다. PA 업무범위, 고위험 침습행위·의학적 판단 필요한 행위 다수 포함 '우려' 대한의사협회 문석균 의료정책연구원 부원장(중앙의대 교수)은 13일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간호법과 진료지원업무(PA) 주요 쟁점'을 소개했다. 문석균 부원장에 따르면 간호법은 많은 부분을 하위법령에 위임하면서 PA 업무에 대한 구체적 기준이 없고 PA 자격 요건, 교육기관 지정과 평가 역시 부재한 상태다. 또한 의료의 연속성을 고려하지 않아 이해관계자간 지속적인 갈등이 유발될 가능

2025.06.1313:05

정부 '지역의료 대책', 또 '양적 확대만' 집중…"서울로 가는 환자 못 막으면 '백방이 무효'"

새 정부 공공의대, 지역의사제 추진 예고…"해외에서도 실패, 정주여건 개선 사실상 불가능, 의료이용 제한 없인 실패" 비판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새 정부가 공공병원과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신설 등을 통해 지역의료를 강화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가 정작 중요한 환자의 의료이용을 개선하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아무리 지역 공공의료에 대한 양적 확대가 추진되더라도 지역에 의사들이 정주하기 위해서는 의사들의 지역 정주 요건인 '치료할 환자'들이 지역에 있어야 하지만, 현재 정부는 환자들의 서울 쏠림 문제에 대해서는 무대책이기 때문이다. 13일 서울성모병원 플렌티 컨벤션에서 열린 '2025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새 정부에서 지역의료 정책 추진 방향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새 정부, 지역의료 강화 위해 공공병원, 지역의사제, 공공의대 추진 방향성 제시 이날 보건복지부 강준 의료개혁추진단 과장은 "그간 지역의료 강화 논의는 말의 성찬이었다"며 "이제 새로운 정부가 출범한 상황에서 과감하고 신속한 실행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실제로 전 윤석열 정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