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07:21

무의미한 연명의료, 왜 반복되는가…환자 중심 의료체계 구축 필요성 ↑

허대석 교수 "법적 개입과 보장성 강화가 의료집착 부추겨…기술 중심에서 가치 기반 의료 전환 시급"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 지 7년이 지났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여전히 무의미한 연명의료가 반복되고 있다. 이 배경에는 법적 책임을 우려한 의료진의 방어진료와 본인부담이 낮아진 환자·보호자의 의료집착 등이 있다. 서울의대 내과학교실 허대석 명예교수는 29일 2025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학술대회에서 '응급의료에서의 연명의료결정과 완화의료'를 발표하며, 기존의 기술 중심 의료체계에서 벗어나 환자의 가치와 삶을 중심에 두는 의료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도록 규정돼 있지만, 현장에서는 가족의 반대, 병원 시스템 미비, 의료진의 법적 책임 우려 등으로 인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다. 허 교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도 인공호흡기 적용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고 자살 기도한 사례 등을 소개하며 "환자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고 전산등록까지 마쳤음에도, 가족의 반대와 요양병원의 시스템 미

2025.06.2917:51

응급의학의사회 "사과 주체는 전공의 아닌 정부…정책 실패 인정하고 해결 앞장서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해체·복지부 장관 조속 인선 촉구…"응급실 과밀화·사법리스크 해결 논의체 구성해야"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2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가 의료 파행의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정책 실패 인정과 사과를 요구했다. 이와 함께 의료파행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며 새 정부에 조속한 해결을 당부했다. 이날 이형민 회장을 비롯한 응급의학의사회 임원진은 현재 의료 파행의 책임이 정부에 있음을 지적하며,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해체와 보건의료위기 심각단계 해제 ▲정책추진 책임자 문책과 사죄 ▲보건복지부 장관 즉시 지명 ▲응급실 과밀화, 인프라 개선, 사법리스크 면책 등 해결을 촉구했다. 이형민 회장은 "의료계가 가장 분노했던 것 중 하나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존재"라며 "조규홍 장관과 박민수 차관이 반복적으로 의료계를 자극했다. 위기단계만 '심각'으로 유지하고, 실질적인 조치는 아무것도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회장은 "전공의 사직 사태는 전공의의 책임이 아니라 정책 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며, 정부가 먼저 사과해야 한다"라며

2025.06.1707:58

"말기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신·신체 통증…고통과 구분하고, 증상별 치료 접근 필요"

한국정신종양학회, 제15회 춘계학술대회 및 연구교육 개최…"말기암 환자의 복합적인 증상, 개별화된 중재 필요" 한목소리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말기암 환자의 통증은 신체적 증상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정신적·사회적 고통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개별화된 평가와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춘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 한국정신종양학회는 13일 중앙대병원에서 열린 제15회 춘계학술대회 및 연수교육에서 '생애 말기 돌봄 – 임상적 중재'를 주제로 학술세션을 개최했다. 세션에서 ▲충남의대 종양내과 권정혜 교수는 '말기 암 환자의 통증 관리' ▲서울의대 정신건강의학과 박혜연 교수는 '말기 환자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 불안, 우울, 섬망' ▲중앙보훈병원 가정의학과 이청우 교수는 '말기 암환자의 어려운 신체증상'을 발표했다. 이들은 말기 환자의 통증과 정신건강, 신체증상에 대한 임상 경험을 공유하며, 암환자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권정혜 교수는 말기암 환자의 통증을 다룰 때 '통증'과 '고통'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환자는 아프다고 말할 때 육체적 통증뿐 아니라 피로, 불안

2025.05.2307:36

소청과 저수가·의료 분쟁 부담에 사라지는 전문의…"소청과 전문의 양성, 국가가 책임져야"

대한소청과학회 6.3 대선 정책 제안, '어린이 청소년 건강기본법' 제정·의료진 법적 보호 강화·수가현실화 등 촉구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만성적 저수가와 늘어나는 의료 분쟁에 대한 부담 등으로 점차 사라지는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외과계 전문의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건강기본권이 위협을 받고 있는 가운데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과 제21대 대선 정책 제안을 발표했다. 22일 소청과학회는 오는 6월 3일로 예정된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소아청소년 의료 기반의 혁신 ▲안심이 되고 지속 가능한 소아 지역의료 구축을 위한 5가지 정책을 제안했다. 먼저 학회는 그간 선거권이 없어 정책적으로 소외됐던 어린이와 청소년의 건강을 위해 '어린이 청소년 건강기본법' 제정을 제안했다. 학회는 "이를 통해 시급한 필수의료를 공급하고, 중장기적인 개선을 도모하는 정책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소아청소년 의료 기반을 구축을 촉구했다. 또 급증하는 의료 소송과 분쟁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소아 의료 및 의료진에 대한 법적 보호 강화와 고질적인 소청과의 저수가 문제도 해결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학회는 "연간 신생아 수 100만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