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가능 사망률 30%→10% 줄인 '권역외상센터'…돌아오는 건 보상 아닌 질타, 당직 과부하
[필수의료 특별기획] 김영대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 "떠나는 의사 잡을 길 없어…고된 업무강도에 적절한 보상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갑작스러운 교통사고, 추락사고 및 각종 산업재해는 응급 중증이면서 다발성 외상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일반 응급의료센터와 구분해 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응급의학과 등 다학제 중증외상팀이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를 사태에 대비해 365일 24시간 대기하고 있는 곳이 있어 안심할 수 있으니, 그곳은 바로 권역외상센터다. 특히 부산대병원은 2008년 보건복지부가 지방 국립대병원 특화‧육성 사업을 추진할 당시 ‘외상전문질환센터’ 사업계획을 승인받아 ‘외상센터’ 개념이 생기기 전부터 ‘지역외상센터’로써 역할을 했다. 2011년 석해균 선장 사건 이후 정부가 중증외상센터 설치 계획을 구상할 당시 참여해 현재의 ‘권역외상센터’의 형태를 갖추게 됐다. 최근 필수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함께 사람의 생명과 직결된 중증, 응급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지만 정부의 각종 대책 발표에도 의료 현장은 줄어드는 의료진과 늘어나는 업무 강도에 신음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