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5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AI 바이오 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예측 연구 3건을 공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탈리아 피사대학교 의과대학 종양내과 키아라 크레몰리니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구연 발표 연구는 정상 불일치 복구형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FOLFOXIRI(폴피리녹스)+베바시주맙(아바스틴) 치료에 면역항암제 아테졸리주맙(티쎈트릭)을 추가한 병용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연구진은 환자 161명의 조직 슬라이드를 루닛 스코프로 분석해 림프구, 종양세포 등 6종 세포의 밀도를 정량화했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환자를 바이오마커 수치가 높은 A그룹과 그렇지 않은 B그룹으로 분류했으며, 전체 환자의 약 70%(113명)가 A그룹으로 분류됐다.
분석 결과, 아테졸리주맙 병용치료를 받은 환자 중 A그룹은 B그룹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PFS)과 전체 생존기간(OS)이 모두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특히 화학요법 단독치료를 진행한 경우 A그룹과 B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아테졸리주맙을 추가한 병용치료의 경우 A그룹에서만 치료 효과가 나타나 루닛 스코프가 면역항암제에 특이적인 예측 바이오마커임이 확인됐다.
이어, 해당 바이오마커의 예측력을 독립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FOLFOXIRI+세툭시맙(얼비툭스)+아벨루맙(바벤시오) 치료를 병용한 환자 48명의 데이터로 동일한 분석을 진행한 결과, 바이오마커 수치가 높은 환자군이 수치가 낮은 환자군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기간 모두에서 개선된 수치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었던 정상 불일치 복구형 전이성 대장암 환자 중 실제 반응 가능성이 높은 환자군을 AI 분석으로 선별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세암병원 연구팀과 함께 진행된 두 번째 연구에서는 진행성 투명세포형 신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항암제 병용요법(니볼루맙+이필리무맙)과 표적항암제 단독요법(수니티닙)의 효과를 비교했다.
연구진은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환자 암 조직 내 종양침윤림프구(TIL)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면역활성(Inflamed)’과 ‘비면역활성(Non-inflamed)’으로 분류했다.
니볼루맙(옵디보)+이필리무맙(여보이) 병용치료를 받은 125명 중 면역활성 환자군은 객관적 반응률(ORR) 60.5%를 보이며 비면역활성 환자군의 23.2% 대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수니티닙(수텐) 단독요법을 받은 128명의 환자에서는 면역표현형에 따른 치료 효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AI 기반 면역표현형 분석이 진행성 신세포암 환자의 1차 치료 전략을 결정하는 데 유용한 예측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마지막으로, 일본 국립암센터(NCCE)와 협력한 일본 다기관 전향적 임상 연구에서 모집된 비소세포폐암 환자 조직에 루닛 스코프를 적용한 세 번째 연구도 발표한다.
분석 결과, 면역활성 표현형을 보인 환자들이 다른 환자들 대비 면역항암제에 유의하게 우수한 치료 반응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다기관 대규모 환자군에서 루닛 스코프의 효용성을 재확인한 의의가 있다.
루닛 서범석 대표는 “이번 ESMO를 통해 루닛이 선보인 연구는 AI가 실제 환자의 생존기간 개선과 연결될 수 있음을 데이터로 입증한 성과”라며 “특히 대장암, 신세포암, 비소세포폐암 등 서로 다른 암종에서 검증된 만큼, 루닛 스코프가 다양한 암에서 맞춤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