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3.12.06 14:43최종 업데이트 23.12.06 14:43

제보

전공의 모집 마감 D-Day, 젊은 의사들 어디로 향할까?

전공의 인력난 필수과들 마감 앞두고 "올해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수도권∙비수도권 55대 45 정원 책정 효과엔 비관적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병원별 2024년도 전공의(레지던트) 모집이 오늘(6일) 마감 예정인 가운데 올해는 어떤 판도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올해는 특히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의 영향으로 연일 언론에 오르내렸던 응급의학과와 소아청소년과의 전공의 모집 결과가 초미의 관심사다.
 
정부가 학회들의 거센 반대에 불구하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공의 정원을 5.5대 4.5로 조정한 것이 지방 필수의료진 확충이라는 당초 취지를 달성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뺑뺑이∙오픈런 논란 속 응급의학과∙소아청소년과 결과 ‘촉각’
 
필수과들은 전공의 모집 마감을 앞두고 지난해보다 상황이 악화하지 않으면 다행이라는 분위기다. 특히 부정적 이슈가 많았던 과들은 더욱 노심초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 때 지원율이 100%를 넘어서며 경쟁과로 분류됐던 응급의학과는 최근 몇 년동안 지원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지난 2023년도 전공의 모집에서는 지원율이 85%대까지 떨어는데, 올해는 응급실 뺑뺑이, 응급의학과 전공의 경찰 조사 등의 문제까지 불거지며 반등을 노리긴 힘든 상황이 됐다.
 
대한응급의학회 류현호 공보이사(전남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이사들끼리 얘기를 나눠보면 올해도 전반적으로 미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경우는 정원이 차는 곳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들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이어 “응급실 뺑뺑이 등 올해 있었던 응급실 관련 이슈들이 전공의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며 “좋은 얘기가 많이 나오는 과들은 지원율이 높아질 거고, 부정적인 얘기들이 많이 나오는 곳은 그 반대일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지난해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던 소아청소년과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소아청소년과는 지난해 전공의 모집에서 서울아산병원을 제외한 빅5  병원들 마저도 미달을 면치 못했고, 지원자가 아예 없는 병원들도 무더기로 쏟아졌던 바 있다.
 
이에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최근 지원자들이 단체로 특정 병원에 함께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점도 변수다. 윗년차 전공의가 적거나 없는 병원들이 상당수인 상황에서 수련 중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동기가 여러 명인 편이 낫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 김한석 소아청소년과 교수(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차기 이사장)는 “작년보다 (우리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대해) 알아보는 사람들은 많아졌지만, 다른 병원들도 알아보고 다니는 것으로 안다”며 “요즘은 집단으로 지원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결과는 뚜껑을 열어봐야 알 것 같다”고 했다.
 
외과 “CCTV 영향 크게 없어” 산부인과∙흉부외과는 예상 '난망'
 
지난 9월말부터 시행에 들어간 수술실 CCTV 의무화법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던 외과는 비교적 덤덤한 분위기다. 수술실 CCTV의 여파가 예상보다 크지 않은 데다 내외부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외과를 지망하는 소위 ‘고정 팬층’은 언제든 있어왔다는 이유에서다. 외과는 지난해 지원율이 직전해에 비해서도 소폭 상승한 바 있다.
 
대한외과학회 신응진 이사장(순천향대부천병원 병원장)은 “수술실 CCTV 의무화의 영향이 없진 않겠지만, 크게 이슈가 되고 있지는 않다”며 “실제 환자와 의료진의 합의로 녹화가 이뤄지는 케이스 자체도 적은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아무리 제도가 바뀌어도 외과를 하려는 젊은 의사들은 매년 140~150명 정도는 있어왔다”며 “올해도 그 정도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전공의 지원율이  상승하며 반등에 성공했던 산부인과학회와 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도 올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쉽게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입장이다.

대한산부인과학회 관계자는 "작년보다 크게 나아질 거라고 보진 않는다"며 " 분만수가가 올랐지만 그건 입퇴원 과정 중에 20~30%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그걸 2배 올려준다고 해도 전체적 분만건수 감소로 인한 보상은 한계가 있다"고 했다.

이어 "젊은 세대들의 지향점은 삶의질의 향상에 있는데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산부인과는 야간 분만 등 환자 생명 다루는 중요한 일을 다루는 데 그런 방향성과는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며 "의료사고에 대한 부분도 신속하게 정부 차원에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정의석 기획홍보위원장(강북삼성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은 사견임을 전제로 “지난해에는 필수의료를 지원하겠다는 소식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필수의료의 비참한 상황에 대한 문제점들이 집중 조명됐다”며 “이런 부분이 올해 전공의 지원율에 영향을 주지 않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수도권∙비수도권 전공의 정원 조정 효과? 되레 부작용 우려
 
수도권과 비수도권 전공의 정원을 기존 6대 4에서 5.5대 4.5로 조정한 것은 당초 취지와 달리 오히려 지방 필수과들의 정원 미달 사태를 불러올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지방 소재 대학병원에 근무 중인 대한내과학회 관계자는 “별다른 유인책도 없이 단순히 지방의 정원을 늘려서 인력을 충원하겠다는 정책은 현실적이지 않다. 정부가 바라던 효과는 전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히려 지방의 경우 인기과 정원들도 같이 늘면서 지원자들이 그쪽으로 몰리고 있다. 필수과 미달이 심화될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김한석 교수도 “소아청소년과는 지난해 지원율이 25~30%. 수준으로 수도권, 지방할 거 없이 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정원 조정이 큰 의미가 없다”며 “지원자 입장에서도 좋은 정책은 아닌 것 같다. (지원자들이) 차라리 다른 과를 가지 않겠느냐”고 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