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 대국민 치매 예방 홍보 캠페인 전개
SK케미칼이 대국민 치매 예방 캠페인 '건뇌하세요'를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건강한 뇌'를 모티브로 한 '건뇌하세요' 캠페인은 노령화와 함께 급증하고 있는 치매 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치매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SK케미칼은 치매의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담은 콘텐츠를 제작해 유튜브, 방송, 온라인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 콘텐츠는 뇌 건강과 관련된 중장년층의 인터뷰를 통해 에피소드와 치매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증상 초기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영상을 통해 담아냈다. 이와 함께 지난 해부터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한 ‘찾아가는 치매 예방 교실’의 참석 대상을 보호자까지 확대해 내달부터 전국 주요 지역에서 강연회를 개최해 나갈 계획이다. 치매는 노화와 함께 찾아오는 대표적인 뇌 질환으로 증상이 심각해질 경우 언어 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양한 인지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고 이는 일상 생활 2025.09.01
독일 '메디카 2025', 오는 11월17일 개막… 의료산업 미래 한눈에
의료기기와 헬스케어 산업의 전 세계 허브, ‘MEDICA 2025’가 오는 11월17일~20일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다. 50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한자리에 모여 첨단 의료기술과 미래 비전을 선보이며 의료산업의 세계적 흐름을 이끄는 무대가 될 것이다. 지난해 MEDICA & COMPAMED 2024에 72개국 5,873개사가 참가했다. 방문객은 165개국 8만 명에 달했으며, 해외 방문객 비중이 76%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임을 입증했다. MEDICA 2025의 전시 분야는 ‘MED TECH & DEVICES (미래형 의료기기)’, ‘DIGITAL HEALTH (디지털헬스)’, ‘LAB & DIAGNOSTICS (실험실 장비 및 진단)’, ‘PHYSIO TECH(물리치료 및 정형외과)’, ‘DISPOSABLES(소모품)’까지 5대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 진단, 로봇·보조 시스템을 통한 수술 및 재활 혁신, 커넥티드 케어를 통한 진료 2025.08.30
에버엑스, 포브스아시아 ‘100대 주목할 스타트업’ 선정
근골격계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에버엑스가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 아시아판이 발표한 ‘2025 아시아에서 주목할 100대 기업(100 to Watch)’에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포브스 아시아의 ‘100 to Watch’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정하는 글로벌 권위 있는 리스트다. 올해 명단에는 핀테크, 인공지능, 지속가능성, 헬스케어 등 미래 산업을 이끄는 기업들이 대거 이름을 올렸으며, 한국 기업으로는 에버엑스가 근골격계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대표 주자로 포함됐다. 에버엑스는 AI 기반 자세 추정 및 동작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근골격계 재활운동 솔루션 ▲의료기관용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디지털 치료기기(DTx) 등을 상용화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으로 공급을 넓혀 나가고 있다. 최근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한데 이어 근골격계 디지털치료기기 최초 혁신의료기기 지정 2025.08.27
일본 병원들은 AI솔루션 어디까지 쓰고 있나...일본 34만 의사포털 'M3' 특별강연 (사전등록 ~8/31)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한국 헬스케어 AI기업들이 일본 시장을 어떻게 공략해야 하나. 이에 대해 실질적인 해법을 소개하는 특별강연과 Q&A세션이 9월 2일 '미래 헬스케어 트렌드 컨퍼런스'에서 마련된다. 일본 대표적인 의료정보 플랫폼 M3는 2017년 'M3 AI-lab'을 설립해 의료 AI 사업을 시작했다. 2022년에는 클라우드 PACS 제조사 PSP와 공동으로 'M3 AI'라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M3 AI는 CT, MRI, X-레이 등 다양한 AI 솔루션을 플랫폼에 통합해 클라우드 기반 AI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M3 AI는 단순한 기술 공급을 넘어 임상 현장에서 검증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19 CT AI, 희귀질환 조기 진단 AI, 폐질환 탐지 시스템 등은 실제 병원에서 입증돼 업무 효율과 환자 치료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사용건별 과금(pay-per-use) 모델을 통해 병원들이 초기 비용 부담 없이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주요 2025.08.26
라온파마,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제50차 부산학술대회 참가
탈모치료제 전문기업 라온파마는 24일 시그니엘 부산에서 열린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 제50차 부산학술대회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대한레이저피부모발학회는 피부미용,비만,탈모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 의료인 및 관련 업체들이 지식을 공유하는 단체로, 약 6000여명의 의사 회원과 50여명의 상임 학술이사를 중심으로 학술대회, 심포지엄, 아카데미 등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라온파마는 이번 행사를 통해 자사의 탈모치료제 피나온정1mg(피나스테리드), 두타윈연질캡슐0.5mg(두타스테리드), 판시온캡슐(케라틴 외), 미녹시폼에어로솔5%(미녹시딜), 라온샴푸(비오틴, 카페인 외 탈모샴푸)을 선보였다. 대표 탈모치료제인 피나온정, 두타윈연질캡슐은 연100억원이상 판매되고 있으며, 탈모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부산우리연합의원 이호준 원장의 강의인 ‘Effiacy of 5% Topical Minoxidil – 국내 기술로 개발한 폼형태 제품 리뷰’를 통해 미녹시 2025.08.25
"일주일에 3번 넘게, 3개월 이상 불면증일 경우 만성 불면장애...적절한 치료 필요"
한독과 함께 하는 수면건강 인식 개선 캠페인 인생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수면은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불면증을 겪는 환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 불면증의 약 50%는 우울, 불안 등 정신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 등 특정 수면장애가 원인이 되거나 동반되기도 한다. 올바르지 못한 수면 습관이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 수면장애의 원인이 정신질환인 경우에는 해당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가 병행돼야 한다. 특정 수면장애가 의심될 경우에는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하다. 별다른 원인이 없는 일차성 불면증은 인지행동치료 등 비약물적 치료가 권장된다. 임상 현장에서 다양한 원인이 복합된 형태의 불면증이 흔히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에 맞춘 맞춤형 치료 접근이 중요하다. 한독과 메디게이트뉴스는 수면의학 전문가들과 함께 2025년 연중 수면건강 인식 개선 캠페인을 마련하며,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올바른 수면장애 정보와 효과적인 치료 방 2025.08.25
에스리본의원 김도위 원장 "피부미용 트렌드 쫓기보단 제품·솔루션 하나하나 연구하는 게 경쟁력"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서울 에스리본의원 김도위 원장은 의료기기와 솔루션 개발에 관심이 많아 피부미용 의원을 개원한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2011년 일회용 피부단자 검사 시제품을 개발해 삼성메디슨 의료기기 공모전 전문가 부문 대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피부과 예약 자동화 프로그램 ‘부스트리(Boostree)’ 창립멤버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참여하고, 병원에 적용하면서 솔루션을 개선하기 위해 개원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이 진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면서 피부 미용 잡지 D&PS를 통해 'AI에서 색소 조절까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자연과학 이야기' 시리즈를 연재하고 있다. 이런 성향을 바탕으로 김 원장은 피부미용 레이저 텐써마, 텐쎄라, 써펙트, 리쥬비엘, 레스노베, 엑소시아 등의 KOL(Key Opinion Leader)을 맡고 있다. 또한 티엔에이치 베가스CRM의 KOL도 도맡아 다양한 개발과 관련한 의견을 내고 있다. 김 원장은 한양의대를 졸업한 가정 2025.08.25
라온파마, 남성형 탈모치료제 '피나온·두타윈' 상반기 1900만정 판매
탈모치료제 전문기업 라온파마가 올해 상반기 남성형 탈모치료제 '피나온'과 '두타윈'의 1900만정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라온파마는 남성형 탈모치료제 프로페시아정(피나스테리드1mg)의 제네릭(복제약)인 피나온정1mg과 아보다트연질캡슐(두타스테리드0.5mg)의 제네릭인 두타윈연질캡슐0.5mg를 보유하고 있다. 올 상반기 피나온정1mg는 1300만정, 두타윈연질캡슐0.5mg는 600만캡슐 판매를 했으며, 국내 동일제형 제네릭 성분 제품중에서는 높은 판매량으로 전해졌다. 또한 회사 측은 지난 5월에 출시한 미녹시폼에어로솔5%도 탈모시장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미녹시폼에어로솔5%는 로게인5%에어로졸(미녹시딜)의 제네릭 제품이며, 국내에서 미녹시딜 폼타입으로는 제네릭 최초 출시됐다. 폼 타입 탈모치료 외용제이기때문에 액상형 제형보다 두피에 바를 때 흘러내림이 적어 사용이 편리하며, 박하향을 추가해 두피에 적용시 청량감을 줬다. 남성형, 여성형 탈모증 치료 적응증을 2025.08.20
임재영 교수 "아직 치료제가 없는 근감소증, 운동과 영양중재, 디지털 기술까지 연결돼야"
솔티드 AI 보행분석 솔루션 '뉴로게이트' 솔티드(Salted)가 개발한 '뉴로게이트(Neurogait)'는 보행분석 AI 솔루션이다. 스마트 깔창인 뉴로게이트 인솔을 사용해 보행 주기, 지면 접촉 시간, 압력 중심 이동 패턴, 분당 걸음 수 등 보행 정보를 수치화해 환자 맞춤형 분석을 할 수 있다. 특히 '동적족저압 측정 '기능 검사료로 법정 비급여로 등재돼 있으며, 간단 신체 수행 능력 검사(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가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아 고가 장비 도입이나 공간 제한 없이도 디지털로 보행분석을 할 수 있다. ①환자가 스마트 깔창 신발 신고 매트에서 걸으면 AI 분석, 전문의 판독 ②보행 분석으로 근감소증 환자 구별…스마트 인솔과 자세 추정 AI 결합해 정확도↑ ③만성 발목 불안정성(CAI) 환자의 맞춤형 재활 훈련을 어떻게 도울까 ④'뉴로게이트' AI 보행분석을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와 파킨슨병 환자에 사용한다면 ⑤이경민 정형외 2025.08.18
휴온스, '멜라토닌' 성분 '드림멜서방정' 출시
휴온스는 '멜라토닌'을 주성분으로 하는 의약품 '드림멜서방정'을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휴온스는 최근 고령화가 심화되고 노인층의 수면 장애 유병율이 높아진 추세를 감안해 현재 ‘조피스타’(성분명 에스조피클론)를 판매 중이다. 여기에 금번 드림멜서방정을 출시하며 제품군을 확대했다. 휴온스 관계자는 "신제품인 ‘드림멜서방정'이 현대인의 건강한 수면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을 만들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있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2025.08.18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