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7.30 13:35최종 업데이트 25.07.30 13:35

제보

전남 국립의대 출범 속도 내나?…국립대병원 네트워크 연계하고 필수·공공의료 중점 모델

의료취약지 중심 의사 양성 목표…전남도의회, 통합 국립의대 설립 지원 특위 구성

전남 통합 국립의대 설립 지원 특별위원회 모습. 사진=전남도의회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으로 제시했던 전라남도 국립의과대학 출범이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의 대표 역점 사업인 데다, 지역 내 의대 설립 염원이 큰 만큼 의대 신설이 신속히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목포대와 순천대는 지난해 11월, 국립목포대학교와 전라남도 통합 국립의과대학 및 대학병원 설립을 위한 사업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했으며, 올해 5월에는 국립목포대, 전라남도와 함께 ‘통합의대 설립 공동준비위원회’를 구성한 상태다. 

구체적인 통합 국립의대 모델도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순천대는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국회와 국정기획위원회를 방문해, 전남 국립의대 설립의 당위성과 통합 의대 모델의 방향, 관련 정책이 국정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순천대는 단순한 국립의대 신설을 넘어,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전남형 국립의대 정책 모델’의 필요성을 적극 피력했다. 특히 ▲국립대병원 네트워크 연계 ▲필수·공공의료 전공 트랙 강화 ▲지역의사제 도입 등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통해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공공성을 중심으로 한 국립의대 설립이 필요하다는 방향성이 강조했다. 

통합 의대 교육 사례도 소개됐다. 미국 워싱턴대 의과대학이 주관하고 5개 대학이 참여하는 WWAMI 프로그램처럼, 지역 캠퍼스 네트워크 교육을 통해 의료취약지 중심의 의사를 양성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또한 전남 국립의대는 전남의 지리적 특성과 통합에 따른 복수 캠퍼스 구조를 고려해 영국 브라이튼·서섹스 의과대학(BSMS), 헐·요크 의과대학(HYMS)처럼 두 개 대학이 통합의과대학을 구성해 지역 특화형 인재를 키우는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국립순천대 이병운 총장은 “단순한 의대 유치가 아니라,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역사회의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공공의료 모델로서 전남형 통합 국립의대 설립을 추진하고자 한다”라며, “교육 기회의 형평성과 지역의료복지 확립이라는 국가적 과제 실현에 국립순천대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범도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중앙정부와 협의를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순천대는 전라남도 국립의대 설립을 위해 국회 및 국정기획위원회를 방문했다. 사진=순천대


전남도는 국립의대 설립과 함께 부속병원 신설을 고려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8일 기자회견에서 "지방 소멸 위기에서 민간 대형병원이 운영되기 어려운 상황과 동서로 긴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면 동·서부권에 2개의 거점 국립 의대 부속병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정부 공약에) 공공의대라고 표현했다. 이는 국립의대에 공공성을 가미한 것으로 이해했다. 지역의사제를 채택하는 등 국립의대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공공의대"라고 설명했다. 

전라남도의회도 7월부터 ‘통합 국립의대 설립 지원 특위’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의대 출범을 지원하고 있다. 

특위는 지난 28일 첫 회의를 개최하고, 신민호 의원(더불어민주당·순천6), 최선국 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1)을 공동위원장으로 부위원장에는 박현숙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을 선출했다.

최선국 공동위원장은 “이미 한차례 실패를 겪은 만큼 다시 못 올 기회로 생각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정원을 확보하는 문제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뛰며, 가라앉은 도민들의 열기를 어떻게 다시 끌어올릴 것인가에 대해서도 열심히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전남 국립의대 신설 촉구 건의안'도 나왔다. 전남도의회 최명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8일 전남의 의료공백 문제 해결을 위한 공중보건의 복무기간 단축, 지역의사제 도입, 국립의대 신설을 촉구하는 내용의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전남 국립의대 신설과 관련해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지역 의대 신설은 대통령 공약으로 국정과제에서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의대 정원에 대해서는 복지부가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두고 지역별·과목별로 의사 정원을 추계하게 된다. 대학 신설 여부는 교육부 소관이지만 수급 추계와 연계하는 것은 복지부 담당이기 때문에 교육부와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