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1.05 07:21최종 업데이트 25.11.05 07:21

제보

정희원 서울시 건강총괄관 "초고령사회 과도한 공포…공공병원, '노인의학' 역할해야"

"노쇠∙돌봄 예방하면 부양비 부담 완화 가능…민간병원은 수익성 탓 노인의학 어려워"

정희원 서울시 건강총괄관이 4일 대한공공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국내 인구학 분야에선 65세 이상 인구가 증가하면 나라가 망할 거라는 얘기를 지겹게 되풀이하고 있다. 이럴 때 의사가 제대로 대안을 제시하고 목소리를 내야 하는데 지금은 의사 집단에서도 ‘노인의학은 필요없다’는 얘기가 나온다.”
 
정희원 서울시 건강총괄관(전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은 4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대한공공의학회 학술대회에서 “고령사회에서 공공의료의 역할은 노인의학을 통한 노쇠 예방∙돌봄 예방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괄관은 현재 우리 사회가 65세라는 숫자에만 집착하다 보니 고령화에 대한 지나친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건강한 노년을 가능하게 하는 의료의 ‘예방적’ 역할이 도외시되고 있다는 부분을 짚었다.
 
사전에 노쇠를 예방하는 개입이 이뤄지면 65세 이상 고령층도도 각종 소비∙생산 활동에 참여가 가능하고, 이는 고령 인구 부양비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음에도 현재 국내 의료시스템은 단일 질병을 치료하는 데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 총괄관은 “현재 의료시스템은 2000년대 초반 정도의 인구 피라미드에 맞춰져 있다”며 “심뇌혈관 질환, 암 등을 상급종합병원에서 수술을 통해 빠르게 치료하지만, (노쇠 등에 따른) 기능 저하에는 관심이 없다”고 했다.
 
이어 “다제약물 관리, 영양 및 운동 중재 등 예방적 개입을 통해 (고령자가) 댁에서 잘 먹고 잘 살 수 있게 하는 게 의료가 해야 할 역할이고, 의료와 복지가 만나는 지점”이라며 “실제 일본, 싱가포르 등은 국가 차원에서 이런 노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총괄관은 “다만 이런 통합서비스는 높은 인력 소요와 낮은 수익성 탓에 민간 의료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어렵다”며 “공공의료가 질병 치료 중심에서 벗어나 다제약물 관리∙노쇠 예방∙돌봄 예방 등 기능 중심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를 위해 공공의료기관에 노인의학 개념을 도입하고 고위험 노년환자 관리료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연령친화 의료시스템을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며 “이후에 통합돌봄과도 연계해 고령화가 진행되더라도 활력은 잃지 않는 지속가능한 나이 듦이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