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감] GC녹십자의료재단 이상곤 대표원장 "재발 방지 위한 투자 약속…100억 예산 투입해 검체 식별 오류 원천 차단"
(왼쪽부터)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 GC녹십자의료재단 이상곤 대표원장. 사진=국회방송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GC녹십자의료재단의 검체 라벨링 오분류로 유방암이 아닌 환자가 수술을 받은 사건이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올랐다.
앞서 6월 GC녹십자의료재단에서 직원의 실수로 수탁받은 2개의 검체가 바뀌면서 유방암이 아닌 환자가 유방 부분절제수술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GC녹십자의료재단은 병리검체검사 분야에 1개월 인증취소 처분을 받았다. 하지만 해당 처분 수준이 낮아 업계에 긴장감을 주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은 "환자 안전의 검체 식별 추적 시스템이 붕괴됐다. 이는 진단의 신뢰, 치료 결정을 무너뜨렸다"며 "이는 절차상의 실수가 아니라 환자의 인생을 바꾸는 치명적 잘못"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라벨 부착 오류로 잘못된 병리 검사 결과가 통보돼 암이 아닌 환자는 암이라고 믿고 수술대에 올랐다. 다른 환자의 치료는 지연됐다. 구체적으로 9월 7일 검체를 접수하고, 9월 10일 결과를 통보했다. 그리고 12월 3일 외부 병원 문의로 오류를 최초 인지했다. 즉 석 달 가까이 잘못된 결과에 대한 아무 검증이 없었고, 그 사이 환자는 수술과 치료를 실행했다"고 부연했다.
백 의원은 환자와 가족이 겪었을 현실을 언급하며 "검체가 바뀌면 인생도 바뀐다. 환자가 겪은 공포와 불안은 서류 한 줄로 지울 수 없다. 심각성과 그 무게를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 자료 중 일부. 사진=국회방송
이어 그는 수탁 병리검사 물량의 20%를 차지하고 업계 1·2위를 다투는 기관의 검체 관리 허술을 지적하며 "병리검사 상위 5개 기관의 자동라벨러 도입 현황(조직병리 검사)을 살펴보면 조직 카세트 자동라벨러를 유일하게 미도입한 곳이 GC녹십자의료재단이다. 수작업에 의존해 리스크를 방치했다"고 말했다.
이에 GC녹십자의료재단은 100억원 가량 투자해 전 단계 장비 자동화를 약속했다. 또한 피해자에 합리적 보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GC녹십자의료재단 이상곤 대표원장은 "일어나지 말아야 할 일이 일어났다. 진단 결과가 인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무게를 인정한다"며 "검사실 자동화는 전체 자동화와 부분 자동화로 나눌 수 있다. 그간 전체 자동화에 치우친 나머지 부분 자동화를 소홀히 했고, 그 과정에서 수작업으로 업무가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어 "재발 방지 이행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 사건 인지 이후부터 검사 절차를 바꿔 많은 부분을 개선했다. 부분 자동화 역시 상반기 검토를 통해 현재는 본격 운영하고 있다"며 "100억의 예산을 준비해 전체 병리 분야에서 전체 자동화를 통해 검체 식별의 오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부연했다.
이날 백 의원은 사건의 처분 수준이 낮아 수탁 기관에 긴장감을 주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보건복지부 정은경 장관은 "인증 한 달 취소는 한 달간 검사와 건강보험 청구를 못하게 하는 경제적 처분이다. 단순한 인증 취소만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재양정 기준 상향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검토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