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이오 민간투자 확대 여건 만들어야"
서울 바이오의료 컨퍼런스, 6개 창업사례 소개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 정부 R&D 지원금을 늘리기보다 많은 민간 자금이 적절하게 투자되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열린 서울 바이오의료 국제 컨퍼런스에서 대학의 기술사업화 우수 사례 3건과 병원의 창업 및 보육사례 3건이 소개됐다. 대학 기술사업화 우수 사례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용근 교수가 창업한 토모큐브,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김건호 교수의 리센스메디컬, 서울대 생명과학부 허원기 교수의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설립된 GPCP가 꼽혔다. 토모큐브는 생체 세포와 조직의 3차원 비표지 영상 측정을 위한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바탕으로 2015년 설립됐다. 현재 2세대 현미경까지 출시했고, 향후 인공지능과 연결해 데이터 기반 진단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 다음 목표다. 박용근 교수는 카이스트 창업진흥원 도움을 받아 창업하게 된 과정을 소개하며 "교직원이나 학생이 창업하게 되면 특정 분야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