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시기' 의대교수협의회장 맡은 김창수 교수…"문제 풀 열쇠 대통령실에 있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정부와 의료계가 의대증원을 둘러싸고 대치하고 있는 가운데 중재자 역할을 자처했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의 수장이 바뀌었다. 전의교협은 27일 임시총회를 열고 연세의대 김창수 교수(예방의학교실)를 신임 회장으로 선출했다. 김 신임 회장은 연세의대를 졸업학고 동 대학원에서 보건학 석∙박사를 취득한 뒤 2007년부터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로 근무했다. 현재 전의교협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이날 메디게이트뉴스와 통화에서 “정부의 주장 중 국민들이 오해할 수 있는 부분들을 정리해 전달하고, 전공의가 빠져나간 각 대학병원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그는 정부의 대학 대상 의대정원 수요조사를 콕 집어 언급하며 “일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의대정원 수요 조사는 의대의 현실이나 실제 교육을 하는 교수들의 목소리는 전혀 반영이 안 되고 있다. 정부의 지원을 받는 대학 입장에서 공문을 받으면 따를 수밖에 없는데, 2024.02.28
'3월 4일' 의대정원 신청 임박에 머리 맞댔지만, 결론 내지 못한 의대 학장들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의대학장들이 임박한 의대증원 신청 기한을 놓고 머리를 맞댔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밤잠 못 이루는 학장들...대학본부가 임의로 의대정원 써내면 어쩌나]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27일 서울 중구 프레이저 플레이스 센트럴에서 정기총회를 열고 의대증원 등 현안을 논의했다. 이날 총회에는 전국 25개 의대 학장이 참석했다. 이날 총회에선 교육부가 3월 4일까지로 명시했던 의대정원 신청 기한을 연기해달라는 KAMC의 요청을 거부한 것과 관련해 학장들의 후속 대응이 나올지 주목받았다. 일부 의대들은 대학본부 차원으로 기존에 써냈던 희망 정원을 그대로 다시 써내기로 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면서, 학장들이 동맹휴학을 신청한 학생들과 대학, 정부 사이의 중재 역할을 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었다. 학장들의 논의 결과는 2025학년도 수용 가능한 증원 규모는 '350명'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 2024.02.27
클래시스, 보유 자사주 전량 소각 결정...배당도 72%↑
클래시스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총 377억원 규모의 주주 친화 정책을 발표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밸류업 프로그램’에 발맞춰 자사주 소각 및 현금배당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27일 주식 소각 결정 공시를 통해 보유 중인 자사주 77만7183주 전량을 소각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일 종가 3만2100원 기준 약 249억원 규모에 달한다. 회사 경영진은 지난 2022년 클래시스가 시장에서 저평가됐다고 판단해,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한 후 예정 금액을 모두 매입한 바 있다. 또한 클래시스는 같은 날 2023년 주당 배당금을 200원으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배당금 총액은 약 128억원 규모이며, 배당 기준일은 2023년 12월 31일이다. 클래시스는 매년 이익과 함께 주가도 상승하면서 배당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상장 이후 7년 연속 배당을 실시했으며, 2023년 주당 배당금인 200원은 전년 대비 72% 증가한 수준이다. 클래시스 최윤석 상무(CFO)는 "클래시스는 혁신적인 제품 2024.02.27
밤잠 못 이루는 학장들...대학본부가 임의로 의대정원 써내면 어쩌나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교육부가 3월 4일로 예정된 의대증원 희망 규모 제출 기한 연장 가능성을 일축한 가운데, 의대 학장들이 정원 신청을 거부하거나 이대로는 정원을 써낼 수 없다고 대학본부를 설득하러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의대 2000명 증원에 반대하며 휴학에 들어간 제자들을 모른 체하며 희망 규모를 써낼 순 없다는이유에서다. 27일 의료계에 따르면 일부 의대 학장들은 교육부의 2025학년도 의대정원 신청 요구에 불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2일 의대를 운영하는 전국 40개 대학에 3월 4일까지 의대정원을 신청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이후 전국 의대 학장들로 구성된 한국의과대학∙의전원대학협회(KAMC)는 사회적 합의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교육부에 2025학년도 의대정원 신청 기한을 연기해 줄 것을 공문을 통해 요청했다. 전공의 사직, 의대생 휴학 등으로 의대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의대정원 신청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2024.02.27
전공의들에 '재계약 포기 금지' 명령까지 내린 정부…"맘대로 병원 못 나가"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정부가 병원과 재계약을 하지 않거나, 합격 후 계약을 포기하는 전공의들도 처벌하겠다고 경고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의대 증원 등 정부의 일방적 의료정책 추진에 반발해 병원을 떠나는 전공의들을 잡아두기 위해 정부가 무리수를 일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전공의들에게 복지부 장관 명의의 진료유지명령을 내리고 있다. 전공의들의 ‘집단 진료 중단 행위’로 인해 국민 보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의료법 제59조 1항에 따라 진료 현장을 지켜달라는 내용이다. 의료법 제59조 1항은 복지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보건의료정책을 위해 필요하거나 국민 보건에 중대한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으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게 필요한 지도와 명령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복지부는 이번 명령에 불응해 정당한 사유 없이 진료를 중단하거나 거부하는 경우, 의료법에 따라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수련 중인 2024.02.26
의대생협회 "피교육자 의견 배제한 의대증원 전면 백지화하라"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6일 의대증원 문제와 관련 “피교육자인 의대생을 완전히 배제한 정부와 대학 간의 탁상공론을 중단하고 학생 의견 수렴에서부터 원점 재논의하라”고 요구했다. 의대협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의학 교육의 질 보장에 대한 정부와 대학의 진정성에 강한 의문을 제기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의대협은 의대증원을 희망하는 대학들에 “전국 의대 학장단 협회는 지난 해 전국 40개 의대 수요 조사 결과가 비과학적이고 무리한 숫자였음을 시인했다. 그러나 재단과 대학은 비현실적 증원 규모임에도 대학 경쟁력 강화, 등록금 수급 등 이윤 추구의 목적으로 중원이 가능하고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를 향해선 “복지부는 정책을 모두 강행한 이후에서야 구색 갖추기용 간담회 자리를 제안하고 있고, 논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자리가 없었음을 인정했다”며 “교육부는 단 한 번도 피교육자인 학생과 소통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2024.02.26
GE헬스케어, 건양대 재학생 대상 현장실습 지원
GE헬스케어 코리아는 지난장 22일부터 2월16일까지 건양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장실습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실습은 작년 9월 건양대와 산학교육 및 연구 협력을 위한 MOU체결에 대한 이행의 일환으로, 의료 기기 전문인력 인재 양성 협력 및 재학생 현장 탐방 및 진로 체험 기회 제공을 위해 진행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건양대 총장 추천 및 기업 담당자의 인터뷰를 통해 최종 선발된 건양대 의공학과 재학생 2명이 참여했으며, 영업 마케팅과 필드 엔지니어 실무 경험을 쌓는 기회가 주어졌다. 참가자들은 현장 실습을 진행하는 동안 멘토와 동행하며 실제 업무 환경을 경험하고 적성 파악 및 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현장 실습 프로그램에 참가한 한 학생은 "현장 실습을 통해 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었다. 현업에 대한 이해도가 실습 이후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에, 이번 경험은 역량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값진 경험이었다"며 "자 2024.02.26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10위 선정
글로벌 에스테틱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 코리아(멀츠)가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인 미국 GPTW(Great Place To Work Institute)가 주관하고 GPTW 코리아가 주최하는 ‘2024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중 10위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멀츠의 10위권 진입은 작년 19위 대비 9계단 상승한 결과로, 매년 순위 상승을 거듭하며 에스테틱 업계 모범 기업의 면모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뿐만 아니라 멀츠는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10위 외에도 ▲글로벌 ESG 인권경영 인증 ▲대한민국 부모가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을 비롯해, 개인부문에서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 (유수연 대표) ▲대한민국 자랑스러운 워킹맘 (영업팀 김동숙 팀장) ▲GPTW 파이오니아 상(인사팀 김은영 상무) ▲대한민국 GPTW 혁신리더(인사팀 신진아 매니저) 등 총 7개 부문을 석권했다. GPTW ‘일하기 좋은 기업’은 세계 150개국에서 글로벌 스탠다드를 기준으로 동 2024.02.26
식약처 및 세계 의료제품 규제 당국 관계자, 카카오헬스케어 방문
카카오헬스케어는 26일 판교 카카오헬스케어 본사에 국제 인공지능 의료제품 규제 심포지엄(AIRIS 2024)’을 공동 개최하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 식품의약국(FDA) 관계자와 전세계 각국 의료제품 규제 당국자, 글로벌 기업가 등 50여명이 방문했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미르 푸자리(Sameer Pujari) AI 리드, 글로벌 제약회사 암젠 데이빗 리즈(David Reese) 최고기술책임자 겸 부사장, 미국 식품의약국 등 세계 규제 당국 관계자와 글로벌 의료 인공지능 기업가들은 이날 카카오헬스케어에서 빅데이터 및 AI를 활용한 디지털 의료기기, 신약 등 의료제품의 기획, 개발 현장을 직접 관람하고 관련 경험을 공유했다. 특히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는 지난 2월 1일 출시한 AI기반 모바일 혈당 관리 서비스 ‘파스타’를 시연하고 주요 기능과 특징을 설명했다. 또한 카카오헬스케어의 의료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과 ‘다기관 연구 협력 네트워크(R-Alliance)’를 2024.02.26
외신도 주목한 韓 전공의 대거 사직…"과로∙저임금 속 정부는 외면"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전공의들이 정부의 일방적 의료정책 추진에 반발해 대거 사직하고 있는 가운데 외신들도 이번 사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로이터통신은 이날 톱 기사로 한국 전공의들의 사직 사태를 조명했다. [관련기사=South Korea doctors on mass walkout say they are overworked and unheard] 로이터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류옥하다 전 가톨릭중앙의료원(CMC) 인턴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전공의들이 과로와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지만, 정부가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주지 않는다고 전했다. 실제 로이터에 따르면 한국의 전공의들은 36시간 연속 근무, 주 100시간 이상 근무를 하는 반면 미국의 전공의들은 24시간 미만 연속 근무를 하며 절반 가량은 주당 근무 시간이 60시간 이하다. 급여의 경우도 류 전 대표가 주 100시간 이상 근무하며 초과 수당까지 포함해 받은 돈은 월 2 2024.02.26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