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올해 상반기에만 벌써 지난해 연간 상승률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올 상반기 기준 3.18% 올라 지난해 연간 상승률 3.01%를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11월(0.12%)을 시작으로 4개월 연속(0.28%→0.40%→0.67%) 상승 폭이 커졌다. 이후 3기 신도시와 도심 공공재개발 등의 계획이 담긴 2·4 공급대책이 발표된 이후 올해 3월 0.49%, 4월 0.43%로 오름폭이 소폭 감소했다. 4·7보궐선거 이후에는 재건축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5월 0.48%에서 6월 0.67%로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강남권 주요 단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외곽에 위치한 중저가 단지들이 키 맞추기를 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한 모양새다. 상반기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노원구로 5.08%를 기록했다. 강남 3구인 송파(4.52%)·서초(4.20%)·강남(3.9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도봉(3.93%), 동작(3.48%), 마포(3.45%), 관악(3.33%), 강동(3.26%), 양천(3.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고가주택에 대한 각종 세금과 규제 정책을 쏟아냈지만 강남 3구의 집값 상승세는 굳건하게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도 호가가 여전히 높아 신고가로 성사되는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3차 105㎡(전용면적)는 지난달 29일 37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는 4월 말 압구정동 재건축 아파트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뒤 두 달 만에 첫 거래다. 올해 1월 같은 평형이 31억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6억원이 오른 가격이다.
노원·도봉구 등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외곽 지역에는 30대 수요자들이 몰리면서 가격이 뛰고 있다. 특히 노원구의 경우 4월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를 비껴가면서 상계·중계·하계동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며 상반기 집값 상승률 1위를 기록했다.
노원구에서는 준공 34년을 맞은 상계주공6단지 58㎡가 지난 6일 9억원에 신고가로 거래되며 지난해 12월(6억5000만∼7억4000만원) 이후 반년 만에 1억6000만∼2억5000만원 가량 값이 뛰었다. 상승률 기준으로 보면 17.8∼27.8% 가량 뛴 것이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