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이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 절차에 착수했다고 21일 밝혔다. 상장 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이다.
아크릴은 이번 상장을 통해 총 180만 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1만7500~1만9500원, 총 공모 예정금액은 315억~351억 원 규모다. 11월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과 일반 청약을 거쳐 연내 상장을 목표하고 있다.
아크릴은 '소프트웨어 엔비디아'를 지향하며, 산업 전반의 인공지능(AI) 도입과 확산을 지원하는 AX(AI Experience) 인프라 전문기업이다. 애플이 UX(User Experience)로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다면, 아크릴은 AX(AI Experience)로 산업의 AI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핵심 플랫폼인 '조나단(Jonathan)'은 ▲GPU 효율을 극대화하는 'GPU 베이스' ▲AI 인프라와 산업별 데이터를 연결하는 '에이전트 베이스' ▲대규모 언어모델 운영을 자동화하는 'LLMOps'를 결합한 통합 AX 인프라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기업이 AI를 효율적으로 개발·운영·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산업 AI 상용화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정부는 소버린 AI(Sovereign AI) 정책을 통해 국가 차원의 AI 주권 확보와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에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소버린 AI는 해외 빅테크에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모델·인프라 전반에서 자국 기술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크릴은 이러한 정책 방향에 정확히 부합하는 국내 유일의 소프트웨어 기반 AI 인프라 기업으로, GPU 최적화 및 LLMops 기술을 통해 국가 데이터센터 및 AI 서비스구축의 핵심 파트너로 평가받고 있다. 산업별 AI 확산의 기반이 되는 AI 인프라의 국산화 및 상용화 측면에서 정책적 수혜가 기대된다.
또한 아크릴은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보건복지부 주관 '한국형 ARPA-H 프로젝트'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닥터앤서 3.0' 사업에 모두 선정돼 수행 중인 기업이다. 이는 국가가 추진하는 양대 의료 인공지능 핵심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사례로, 아크릴의 의료 AI 에이전트 기술력과 연구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아크릴이 자체 개발한 국산 대규모 언어모델 '아름: ALLM(Acryl LLM)'은 2024년 호랑이 리더보드 1위를 기록하며 국내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입증했다. 이를 기반으로 아크릴은 의료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ALLM_H)를 개발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분야에서 검증된 기술력을 토대로 공공, 교육, 산업 등 다양한 영역으로 AX 인프라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2022년 92억 원에서 2024년 134억 원으로 매출이 성장하며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E&A, 삼성웰스토리, 씨젠 등 약 80여 곳이며, 최근 우즈베키스탄, 미국 진출을 완료하고, 말레이시아 등과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프로젝트 협력을 추진 중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바탕으로 조나단의 국내외 확산의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기업이 AI를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AX 생태계를 글로벌하게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아크릴 박외진 대표이사는 "이번 코스닥 상장 추진은 아크릴이 그간 구축해 온 AX 인프라 기술력과 산업적 비전을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검증받는 과정이다"면서 "AI 인프라 기술력과 산업적 확장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AX 생태계 표준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