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진과 직원의 잠복결핵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병원이 직원들에게 자비로 검사를 받으라고 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기동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병원 의료진의 잠복 결핵수는 2015년 4명, 2016년 12명이었다. 올해 10월 잠복결핵 검진을 용역직원을 포함한 모든 직원으로 확대한 결과 260명에 했다. 이는 전년대비 22배 늘어난 수치다.
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되는 질환으로 주로 호흡기를 통해 걸린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이 몸속에 있지만 질병이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때 타인에게 균을 전파시키지는 않지만 결핵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기 의원은 “감염병 병원이자 공공의료 대표기관인 국립중앙의료원 의료진과 직원은 감염병 위험에 놓여있다”며 “의료원의 잠복결핵 양성자 수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기 의원은 “감염병 환자와 결핵 환자가 자주 방문하는 국립중앙의료원은 면역이 취약한 환자들에게 결핵균을 전파할 가능성이 높다”라며 “결핵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도 감염이 쉬운 환경에 노출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립중앙의료원은 활동성 결핵 감별을 위한 객담 검사(폐에서 목구멍에 이르는 분비물 검사)나 전산화 단층촬영(CT) 등을 자비로 치료받으라는 조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를 하던 중 추가 비용이 발생하면 직원 할인 40%가 가능하다는 안내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 의원은 “공공의료 기관 의료진과 직원들에 대해 안전 대책을 다시 점검해야 한다”라며 “결핵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디게이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