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5.02 14:32최종 업데이트 25.05.02 14:32

제보

내년도 의대 트리플링 현실화 우려 속…이주호 권한대행 "의대생들 돌아와야" 기존 입장 답습

10명 중 7명 유급 예상…교육부, 학사유연화 없다 입장 고수, 9일 이후부터 유급 규모 공개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교육부

[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 신분으로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조기 대선과 시급한 국정 운영에 초점을 맞춘다고 밝혔다.

당장 의대생들의 대량 유급과 제적이 예고되며 내년도 24·25·26학번이 함께 1학년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이 우려되고 있지만 교육부는 여전히 학사유연화 계획은 없다며 오는 9일 이후부터 유급 규모를 공개한다는 입장이다.

2일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마지막 남은 30여일 동안 혼신의 힘을 다해 국정을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 대행은 "얼마 남지 않은 기간이지만 국익과 국민을 위해 너무나 중요한 과제들이 우리 앞에 남아있다. 미국과의 본격적 통상 협의, 어려운 민생 경제 살리기,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등 그 어느 하나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초유의 대행의 대행의 대행을 맡게 된 이 대행은 윤석열 전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받아 2022년 11월부터 교육부 장관을 수행 중이다. 12·3 비상계엄 직전까지만 해도 장수 장관이어서 교체 1순위로 꼽혔지만, 계엄 여파로 임기가 자동 연장됐고 이번에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맡게 됐다. 

이에 따라 이 대행은 6·3 대선까지 약 5주간 국정 운영을 책임지게 된다.

문제는 지난 4월 30일로 의대생들의 유급과 제적이 본격화 되면서 교육부가 중점으로 뒀던 의대교육정상화는 더 멀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2일 출근길에서 기자들을 만난 이 대행은 "의대생들은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며 "학사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하겠다"며 기존의 입장을 답습했다.

또한 "의대 문제를 포함해 여러 난제가 있는데 짧은 기간이지만 해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다만, 교육부는 기존의 학사유연화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실제로 교육부는 30일을 기점으로 각 대학에 유급 절차를 진행하라는 공문을 보냈고, 오는 7일까지 각 대학으로부터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유급 기준일, 대상자 수, 유급 확정 통보 인원 등을 담은 서식을 제출받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유급 규모 등은 오는 9일 이후에나 공개될 예정이다. 교육부가 지난달 17일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25.9%라고 밝힌 이후 복귀율에는 별다른 변동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40개 의대 전체 재학생은 1만9760명 중 1만명 이상이 유급될 가능성이 높다.

의대생의 10명 중 7명이 유급 위기에 처하며 각 의대들은 내년 트리플링 대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일부 대학들은 26학번에게 수강 신청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학칙 개정에 나서고 있다.

조운 기자 (wjo@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