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7.12.20 11:20최종 업데이트 17.12.20 11:20

제보

진행성 난소암 환자 생존율 높이는 항암치료 시점은?

선행항암치료 후 6주 이내에 수술과 항암치료 시작하면 생존율↑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연세암병원 부인암센터 이정윤 교수·이용재 강사 연구팀이 진행성 난소암 환자 치료 시 선행화학요법 종료 후 6주 이내에 수술 후 항암치료를 시행하면, 생존율을 유의미하게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선행항암치료를 종료한 환자에게 6주, 즉 42일 안에 수술 및 수술 후 항암치료까지 실시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연세암병원은 "진행성 난소암 환자 치료에서 선행화학요법 종료 시점부터 수술 후 항암치료 시작까지 효과적인 치료 간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처음 제시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진행성 난소암에서 선행항암요법 후 종양감축술을 시행한 뒤 항암치료를 하는 방법이 각광받아 왔지만, 치료 간 시간 간격이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기 때문이다.
 
먼저 연구팀은 연세암병원에서 2006년 1월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진행성 난소암 3기 혹은 4기를 진단 받고 선행항암요법을 1회 이상 받은 상피성 난소암 환자 220명의 예후를 추적해 분석했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선행항암요법의 종료 시점과 수술 후 항암보조요법의 시작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에 따른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 재발률 등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선행항암요법 종료 시점부터 수술 후 항암치료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인 42일을 기준으로 대상 환자군을 분류했다.
 
그 결과, 두 치료 사이 시간 간격이 42일 이하인 환자군과 42일보다 긴 환자군의 생존율과 무진행 생존율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전자는 5년 생존율이 59%였지만 후자는 36%였으며, 무진행 생존율의 경우에도 5년 생존율이 22%와 9%로 차이가 있었다.
 
더불어 종합적으로 55개월 생존율을 추적 조사해 분석한 결과, 두 대조군에서 후자는 전자에 비해 사망 위험이 2.03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한 두 대조군은 재발률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선행항암요법 후 42일이 넘게 지나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군의 경우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재발할 위험이 1.41배인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두 치료 간 시간 간격을 37일 이하, 38일 이상 42일 이하, 43일 이상 50일 이하, 50일 초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치료 간 간격이 길어질수록 재발하거나 사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 이정윤 교수는 "그동안 불명확했던 선행항암요법과 종양감축술 이후 항암치료 사이 효과적인 치료 기간이 규명돼 진행성 난소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번 연구가 진행성 난소암 환자들에 대한 항암치료 시기를 재정립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교수는 "의료진 차원에서 효과적인 협진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술 합병증을 줄여 최적의 시기에 항암치료를 시행하려는 노력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Gynecologic Oncology에 실렸다.

#연세암병원 # 진행성난소암 # 선행항암치료 # 수술 # 항암 # 난소암 # 선행화학요법 # 생존율 # 메디게이트뉴스

황재희 기자 (jhhwang@medigatenews.com)필요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