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시장, 의사 '폭풍관심' 제약사 '머뭇'
개원가 환자군 형성 기대…제네릭 개발했지만 시장성 담보 의문
정부가 금연 치료 보험급여화 계획을 밝힌 후 의사들은 폭발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는 반면 제약사들은 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 제네릭을 개발할 수 있는 오리지널 약물이 거의 없고, 있다 해도 시장성이 크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금연급여 확대 계획은 오는 25일부터 건강보험공단 사업비 형태로 환자 상담료와 금연 치료제, 니코틴 대체제 등의 비용을 일부 지원하는 방식이다. 금연치료제인 '바레니클린(varenicline, 제품명 챔픽스)'에는 정당 1000원을(판매가 약 1700~1800원), '부프로피온(bupropion, 제품 웰부트린)'에는 500원(판매가 700~800원)을 지원한다. 금연보조제(니코틴 대체제)인 패치와 껌, 사탕을 구입하면 1일 1500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정부는 지원사업을 진행하는 동안 급여 기준을 정비해 하반기 중 급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의사 환영 … 1만여곳 지원사업 신청 의사들의 반응은 뜨겁다. 그동안 비급여인 금연치료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