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19:14

전공의들 "중증·핵심의료 살리려면 소송 리스크 완화·수련환경 개선"

대전협 비대위 14일 국회 간담회서 주장…중증·핵심의료 과목 소송 위험 높고 수련환경 열악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전공의들이 소위 ‘필수의료’로 불리는 중증∙핵심의료 분야를 살리기 위해선 소송 위험을 완화하고 수련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의 간담회에서 전공의들의 중증∙핵심의료를 기피하는 이유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대전협 김재연 비대위원(삼성창원병원 사직 전공의)은 먼저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는 ‘필수의료’라는 단어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생명에 미치는 영향이 큰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외과∙신경과 등을 ‘중증∙핵심의료’로 명명하자고 제안했다. 이어 최근 중증∙핵심의료와 관련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설문에 따르면 수련 중단이나 과목 변경을 고민한 비율은 중증∙핵심의료 분야 전공의가 나머지 과목 전공의들에 비해 1.6배가량 높았다. 특히 중증∙핵심의료 과목의 전공의들은 의도치 않은 의

2025.07.1319:26

'문제 해결 없이 왜 복귀?' 지적에 의대협 이선우 위원장 "배정심사위 신설화 등 신뢰 형성"

조병욱 위원장 "더블링 막으려 학교 떠났나" 문제제기…이선우 위원장 "의학교육위원회 신설 6년간 교육 모니터링 건의"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아무것도 해결된 것이 없는데 의대생들이 왜 전원 복귀하느냐'는 일부 의료계 지적에 대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이선우 비대위원장이 "의대정원 배정심사위원회 등과 같은 기구를 상설화하는 내용을 제안했고 정부와 종합적인 신뢰가 쌓였다"고 답했다. 또한 이 위원장은 가칭 '의학교육위원회'를 신설해 최소 6년간 각 대학에서 의학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이선우 위원장은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와 신뢰, 문제인식 확립'을 이유로 전원 복귀를 밝혔다. 이후 의료계 내부 일각에선 일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전 회장은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얻은 것 하나 없이 상처만 남긴 채 사태가 끝나게 된 것에 대해 전체 의대 학생들에게 무릎 꿇고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의협 김경태 감사도 "트리플링만 막기 위한 졸속 합의, 사실상 백기투항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미래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