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금으로 끝난 아주대 의사 폭행 사건…피해 교수 분개 "'덕분에' 립서비스 그만…행동으로 보여달라"
김진주 교수, 필수의료 살리기 대책 본질은 의료진이 안전하게 진료 펼칠 수 있는 환경
새 정부의 시급한 공공의료 정책, 결코 지방의료원과 공공의대 신설이 아니다
정책 정책 [칼럼] 박인숙 울산의대 명예교수·전 국회의원
"시간이 없다…전공의 복귀 대책은 특혜 아닌 의료붕괴 막는 필수"
의료 의료인 최창민 전 교수비대위원장,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제자리인 전공의 수련 시스템, 이번에 바꿔야"
김택우 회장, 이형훈 복지부 2차관 만나 "의료사태 슬기롭게 풀어가자"
정책 정책 의협, 의료정책 상설 협의체 구성 제안...의대생 복귀 위해 협력 다짐
사립대교수연 "의대 증원 찬성 등 정권 눈치보기 급급 이진숙 후보자, 자진 사퇴하라"
의학 의학 논문 표절, 학내 구성원 불화 등 교육부 장관으로 갖춰야 할 양식과 철학에 의문 품게하는 의혹 다수
김성근 의협 대변인, 대전협 패싱 논란에 "한성존 위원장 부회장직 요구 정당치 않아"
정책 정책 "소통 원활하고 어제도 함께 총리실 방문...의협은 열려있으니 언제든 상임이사실 활용해달라"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18일…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16일
정책 정책 정 후보자, 의정갈등 해법·배우자 주식 논란 쟁점…이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의대생 학사유연화 방향 쟁점
제약바이오 (1/2)
국내외 제약.바이오 뉴스를 심층적이고 발 빠르게 전달해드립니다.
전체보기
같은 약, 다른 값 '적응증별 약가제도' 도입 필요성에 심평원 '신중'
약제관리실 김국희 실장, 전문기자단과 간담회…천연물신약 재평가, 산업 역행 지적에 심평원 "임상 유용성만 판단"
대형 라이선싱 거래 몰린 분야는 RNA·이중항체·GLP-1…표적 단백질 분해제 관심도↑
가장 많은 거래 추진한 곳은 아스트라제네카, 가장 많은 금액 지출한 곳은 노바티스
삼성전자, 美 디지털 헬스케어 회사 '젤스' 인수…초개인화된 예방 중심 케어 서비스 제공
미국서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 제공…일상생활-병원간 정보 공백 해소하고 환자-의료진 연결 강화
의협 “비대면진료는 1% 위해 99% 국민 건강 위험”...복지부 "심각한 위해 없어"
정부 주도 비대면진료 2만6000여건, 구체적 내용 공개 안돼...복지부는 의료계와 제도 설계 의지 피력
개원의가 많이 본 기사
대웅제약, '스토보클로'로 골다공증 치료 패러다임 전환
의대 교수가 많이 본 기사
상반기 바이오헬스 기업 10곳 코스닥 상장…투자자들 관심 가장 높았던 곳은
지에프씨생명과학, 인투셀,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등 수요예측과 청약에서 흥행
단신
병원·기업·의료계 단체들의 다양한 활동과 실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풍림무약 이정석 대표, '2025 서울 중소기업인대회' 대통령 표창 수상
동아ST, 입센코리아와 '디페렐린' 킥오프 미팅 개최
지엔티파마, 뇌졸중 치료제 '넬로넴다즈' 다국적 임상 3상 식약처 승인
응급실 도착 60분 이내 약물 투약 및 재개통 병용치료
지니너스, 에이비엘바이오와 유전체 AI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지니너스 유전체 AI 솔루션 상용화 가속화로 매출 확대 기대
멥스젠, 인하대학교 김선민-전태준 교수 연구팀과 태반 모델 공동개발 연구협약 체결
멥스젠의 생체조직칩과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 활용하여 임신 초기 태반 모델 개발
씨엔알리서치, 보건복지부 '디지털 바이오 스마트 임상' 사업 참여
176억 원 규모의 임상 지원 플랫폼 구축
사이버보안, 디지털 헬스 앱 선택 시 가장 우선해
연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신재용 교수 연구팀, ‘npj 디지털 메디슨' 발표
제이엘케이-日 크레아보, 유통 계약 체결하고 일본 AI 시장 공략
웨이센, 베트남 중부지역 최대 병원 후에중앙병원과 MOU 체결
유비케어, 주차별 처방 실적 분석 솔루션 'Weekly Pro' 출시
미래에셋생명, AI 건강관리 서비스로 미래에셋그룹 임직원 건강관리 혁신
토큐
메디게이트뉴스를 포함해 여러 매체에서 화제가 된 내용을 한 눈에 보여드립니다.
의대증원 놓고 의∙정 갈등 최고조
정부가 발표한 의대증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에 의료계 반발이 거세다. 전공의들이 사직하고, 의대생들이 휴학하는 가운데 정부가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면서 의∙정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박민식 2024.02.21
의대증원 의∙정 강대 강 대치 장기화
정부가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하겠다고 밝힌 뒤로 전공의와 의대생을 필두로 정부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한 달이 넘도록 이어지는 의료계의 반발에도 연일 강도를 높여가며 의료계를 압박하고 있다. 조운 2024.03.19
이재명 서울대병원 전원 논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초 이송된 부산대병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수술을 받아 논란이 일었다. 특히 최근 공공의대법, 지역의사제 통과에 힘썼던 민주당의 대표인 만큼 그의 이송 소식은 의료계의 공분을 샀다. 이지원 2024.01.12
전체 뉴스 순위
의사를 위한 맞춤 기사
제약 중심 맞춤 기사
의료 중심 맞춤 기사
칼럼/MG툰
새 정부의 시급한 공공의료 정책, 결코 지방의...
[디지티의 미국의사일기] 전공의의 시간은 빠르...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