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조운 기자] 이재명 정부 첫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과거 총장 시절 불통 논란에 이어 최근 논문 표절 의혹까지 제기되며 의료계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장 복지부 장관과 함께 의정갈등 해소를 위해 대화에 나서야 할 교육부 장관이 과거 의대 증원을 찬성했다는 사실과 함께 각종 논란까지 겹치면서 적임자가 맞는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후보자가 충남대 교수 재직 시절 주요 내용이 같은 논문 두 편을 각기 다른 학술지에 발표한 데 이어 제자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실과 학계는 이 후보자가 2018년 2월에 한국색채학회에 발표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라는 제목의 논문과 같은 해 3월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에 게재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의 유사도가 30%에 달한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논문 유사율이 20% 이상이면 다른 논문을 베낀 것으로 간주되기에 이 후보자가 자신의 이전 연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연구물을 출처 없이 표이 게재한 후 연구비 수령 등 부당한 이익을 얻었을 경우 '부당한 중복게재'에 해당될 수 있다.
논문 표절 의혹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 후보자가 교수 재직 시절, 제자의 석박사 학위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해당 논문은 지난 2003년 7월 대한건축학회에 발표한 'UGR(Unified Glare Rating·눈부심 등급)의 보정 및 불쾌글레어 주관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로 제자 권모 씨가 작성한 석사 학위 논문인 'UGR(Unified Glare Rating)의 보정 및 불쾌글레어의 주관 평가에 관한 연구'와 카피킬러 표절률이 43%에 달했다.
앞서 충남대 민주동문회와 교수회에서 이 후보자의 불통과 권위주의적 태도를 문제 삼아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온 데 이어 논문 표절 의혹이 사실이라면 교육개혁을 주도해야 할 ‘교육부 장관’으로서 결격사유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이 후보자가 추진위원장을 맡았던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대해서도 충북지역 진보 교육단체인 충북교육연대로부터 지방 교육 차별적 인식을 드러낸다며 비판이 제기되는 등 여러 악재가 쏟아지고 있다.
의정갈등 해소와 함께 의대생 2학기 복귀 등을 기대하고 있는 의료계 입장에서는 교육부 장관에 대해 거는 기대도 큰 상황에서 이 후보자의 과거 언행과 행동이 오히려 불신을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단국대 의대 인문사회의학교실 박형욱 교수(전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는 "교수는 제자의 석박사 논문을 쓰는 게 아니라 지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석박사 논문과 동일한 내용을 저널에 기고한다면 석박사 논문을 쓴 사람이 제1저자가 되고 지도한 교수는 교신저자가 합당하다"며 "이 후보자에게 석박사 논문을 지도받은 제자들은 제1저자가 될 기회를 도적질 당한 것이다"라고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질타했다.
특히 박 교수는 이 후보자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추진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이 후보자는) 과거 지역거점병원을 빅5 못지않게 키우겠다고 허언을 하고, 국립대병원 적자를 눈덩이로 불려 놓고 공직을 떠난 한덕수 전 총리가 생각난다"며 "대학 총장이 과장과 허언을 일삼고 버젓이 교육부장관 후보자로 등장하는 사회는 정상적 사회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의료계 관계자는 "이 후보자는 과거 의대 정원 증원을 찬성한 인물로 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주도하는 등 균형잡힌 교육 의식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인물이 교육부 장관이자 부총리가 된다면 의료계와 신뢰 회복은 물론 의대생들의 2학기 복귀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고 본다"며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서 적임자가 맞는 지 의문이다"라고 꼬집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