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11.11 08:24최종 업데이트 25.11.11 08:24

제보

현장은 '의사과학자 연구 보상 파격 지원' 원하지만 복지부는 '글쎄'

이형훈 2차관 "동기부여 필요하지만 연구 자체가 즐거운 이들이 와야…보상 있어도 결국 떠날 이들은 떠나"

보건복지부 이형훈 2차관.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파격적인 보상체계 지원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추가적인 재정 지원이 쉽지만은 않다는 보수적 견해를 냈다. 

복지부 이형훈 2차관은 10일 '의사과학자 양성과 의과학 발전방안 제안' 국회토론회에서 "의사과학자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여러 시도가 있었다. 의학전문대학원도 비슷한 취지였지만 많은 이들이 임상의 길로, 개원의 길로 갔다. 결국 어떻게 보상을 할 것인가의 문제인데 이는 까다로운 문제"라고 말했다. 

이 차관은 "연구에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다만 (연구 자체를) 만족할만한 이들이 해야 한다. 연구에 보상이 없다는 이유로 자신의 재능을 찾아가는 사람이라면 (보상을 줘도) 계속 부족할 것이다. 결국은 자신이 좋아하는 길로 찾아간다"며 "누굴 이기겠다는 경쟁이 아닌 문제 해결을 하고 싶다는 정신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년 반의 (의정갈등) 과정도 결국 좋은 의사를 양성하고 다양한 의사들이 임상 뿐 아니라 많은 길을 걸어 갔으면 하는 바람에서 진행됐다. (연구에 대한) 보상 문제는 국민 세금이 쓰인다. 정당성이 있어야 한다. 재정이 투자됐는데 (성과를 낼 수 있는) 100명 중 1명만 보고 투자하기엔 세금을 쓰기 힘들다"고 우려했다. 

의사과학자 양성 지원사업에 지난해 전공의 87.6%가 중도 포기한 문제와 관련해서도 이 차관은 "전공의들이 사직하면서 중도포기한 것이다. 현재 다시 이들이 복귀하면서 재참여를 원하는 이들이 있어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선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제언이 쏟아졌다.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은 "우리나라에서 의사과학자의 길은 여전히 쉽지 않다. 안정적인 진로와 보상체계, 연구 인프라 부족 등을 이유로 인재 유입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의원은 "이 때문에 우리나라 의사과학자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수준이다. 이제는 사명감만을 요구하는 시대를 넘어서 의사과학자가 제도적 보호 속에서 성장하고 도전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할 때"라고 제언했다. 

서울의대 이호영 연구부학장은 "의사과학자는 임상지식과 과학 연구 능력을 모두 갖춘 융합형 인재로 이들을 양성하기 위해선 학부 과정부터 박사후 과정까지 이어지는 전주기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정부, 기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핵심"이라며 "미국처럼 의학 학위와 박사 학위 과정을 통합해 7~8년에 걸쳐 체계적으로 융합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의사과학자 양성은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렵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강력한 추진 체계와 장기적이고 파격적인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의사들이 충분한 연구 시간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연구비, 인건비 등 재정적 지원 및 연구전담 트랙, 인사 규정 개선 등 제도적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