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9.08 07:40최종 업데이트 25.09.08 07:40

제보

"의사증원, 의사들과 정반대 이유로 파업"…민노총 의료연대본부 15일 총파업 예고

국립공공의대 설립·지역의사제 실시…의사 수 확충하고 공공병원 육성 방안 제시하라

2025년 의료연대본부 공동파업 슬로건과 4대 공동요구안. 사진=의료연대본부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사 수 증원을 반대했던 의사들과는 정반대의 요구로 파업에 돌입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이번주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하고 가결될 경우 15일부터 공동파업에 들어간다. 

이번에 파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은 의료연대본부 소속 4개 국립대병원(서울대병원, 강원대병원, 경북대병원, 충북대병원)이다. 

이중 가장 먼저 파업행위 찬반투표를 진행 중인 서울대병원은 5일부터 오는 9일까지 파업 여부를 결정해 10일 서울대병원 시계탑 앞에서 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개최할 예정이다. 

강원대병원은 8일부터 10일까지 투표가 진행되며 경북대병원은 10일부터 12일까지 투표를 통해 파업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의료연대본부는 파업 이유에 대해 "이재명 정부는 국정과제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서 지역의료 격차 해소와 공공의료 강화를 언급했지만 구체적 목표도 세부 계획도 없다"며 "시장 중심의 의료체계에서 발생한 문제들은 공공의료 중심체계로 전면 전환해야 해결 가능하다. 공공의료 확대를 위한 공공병원 육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의사 수 증원을 반대했던 의사들과는 정반대의 요구로 파업에 돌입한다. 부족한 지역의료와 공공의료 인력을 대폭 늘려야 한다. 공공의대 설립과 지역의사제 도입, 보건의료인력 배치기준 마련과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의료연대본부는 "공공병원 노동자들은 병원 적자와 총인건비제, 혁신가이드라인, 경영평가 등 정부의 공공기관 악덕 지침 때문에 노동권을 빼앗기고, 민간병원 노동자들은 병원의 이윤 창출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현실을 바꾸기 위해 공동파업에 돌입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4대 공동요구안은 ▲국가책임 강화로 공공·지역의료 살리기 ▲보건의료 및 돌봄 인력확충 ▲노동조건 개선과 노동권 강화 ▲의료민영화 저지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다. 
  
구체적으로 국립공공의대 설립과 지역의사제 실시, 공공-지역의료 총괄체계 구축, 주4일제·32시간제 실시, 비정규직 정규직화, 보건의료인력 배치기준 및 인력확충대책 마련, 혼합진료 금지 등이 요구안에 담겼다. 

하경대 기자 (kdha@medigatenews.com)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