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 추진중인 ‘공공기획’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재개발의 경우 후보지 공모 전부터 주민들이 적극적인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재건축은 사실상 1호 사업마저 일부 주민의 반대로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습이다.
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공공기획을 적용한 민간재개발의 경우 이달 말 후보지 공모를 앞두고 도시재생구역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참여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형 도시재생 1호 사업지인 창신·숭인을 비롯해 현재 11곳이 주민 동의서를 모으고 있다. 이들을 포함해 20여곳에서 공공기획 공모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재생사업지들이 이처럼 공공기획에 적극적인 것은 사실상 재개발의 마지막 기회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민간 재개발이 좌초된 곳을인데다 정부가 추진중인 공공재개발 역시 지원 중복 문제로 배제됐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오 시장이 도시재생구역에도 공공기획 방식의 재개발을 허용키로 하면서 사업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공공기획 재개발을 추진하면 정비구역 지정 기간이 기존 5년에서 2년으로 대폭 단축돼 속도를 낼 수 있다.

반면 재건축 시장에서는 공공기획이 별다른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모습이다. 현재 1호 사업장으로 선정된 송파구 오금현대 아파트마저 일부 주민의 반발로 제동이 걸렸다. 이 단지의 한 주민은 "정비계획안 수정과 공공기획 추진 과정에서 주민 의견 수렴이 없었다"며 불만들 드러냈다. 여기에 임대 건립비율이 전체 건립가구수의 21%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공기획에 대한 거부감을 키우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25일까지 진행된 주민공람 과정에서 집단적인 반대의견 제출이 잇따르자 당초 이달 1일로 계획했던 도시계획위원회 상정을 연기하고 추가 의견을 듣기로 했다. 업계에 따르면 오금현대 외에 공공기획에 참여 움직임을 보이는 재건축 단지도 없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당수 재건축 단지들이 ‘공공’이라는 명칭이 주는 거부감은 물론 높은 임대비율 때문에 실익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