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8.19 11:30

금통위 D-7…한은, 코로나 재확산에도 금리 올릴까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한은이 아시아 국가 중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올리며 돈줄을 조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한은이 지난 6월부터 여러 차례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온 데다 경기 상황도 나쁘지 않아 8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1765조원 규모 가계부채를 기반으로 한 집값과 물가 폭등, 최근 외국인들의 위험자산 회피 현상으로 금리매력도를 올려야 한다는 점 등 금리인상 근거도 충분하다. 다만 앞을 가늠할 수 없는 코로나19 델타변이가 한은의 결정을 어렵게 하는 요소다. 코로나19 재확산은 이달 금리인상 가능성이 100%로 점쳐졌던 뉴질랜드의 금리인상 시간표도 바꿔놨다.
19일 금융시장 관계자들에 따르면 시장에선 한은이 오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연 0.50%에서 0.75%로 25bp(1bp=0.01%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한은이 금리를 두 차례 올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한은이 연내 금리를 두 차례 올릴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당초 JP모건은 한은이 10월에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한은 금통위 의사록에 담긴 금통위원들의 발언을 봤을 때 금리인상 시기가 당겨질 가능성이 커졌다고 봤다. 정부와 한은은 하반기 들어 ‘집값 파이터’로 변신하며 금리인상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신임 금융위원장으로 내정된 고승범 한은 금통위원은 지난달 ‘금리인상’ 소수의견을 냈다.
문제는 역시 코로나19다. 세계적으로 델타변이 확산세가 심상치 않고, 국내 일일 코로나19 확진자 수도 또다시 2000명을 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연장이 불가피한 가운데 금리인상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2개국(G2)의 경기회복 속도가 느려지는 것 또한 금리인상에 부담 요소다. G2의 경기둔화는 우리 수출침체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코로나19는 한국보다 금리인상이 빠를 것으로 예상됐던 뉴질랜드의 기준금리 인상도 보류하는 결과를 낳았다. 18일(현지시간)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은 기준금리를 0.25%에서 0.50%로 올릴 것이란 예상을 깨고 금리를 동결했다. 뉴질랜드의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3%에 달했고, 블룸버그 ‘집값 거품순위’ 1위를 차지해 한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곳으로 꼽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연내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나서겠다는 긴축 시간표를 제시했지만, 금리 인상은 조심스럽게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갑작스레 진행된 긴축조치로 경제가 후퇴 조짐을 보인 트라우마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 결정이 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6월 Fed 위원들은 점도표에서 2023년 2차례 금리인상을 예고한 바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테이퍼링을 마무리하고 약 1년 후 거시경제와 고용회복을 확인한 뒤 두 차례 금리인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