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령댐 도수로 위치도.
[세종=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다목적댐인 보령댐이 가뭄 '경계'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생활·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하루에 최대 11만5000t의 금강 하천수를 보령댐에 보충할 수 있는 도수로를 16일 오후부터 가동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다목적댐의 경우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용수전용댐의 경우 관심-주의-심각 3단계로 구분해 용수공급량을 관리하고 있다. 관심단계는 수요량을 공급하고, 주의는 하천유지 용수를 최대 100%까지 감량, 경계시엔 농업용수 실사용량의 20~30%까지 추가 감량한다. 심각 단계 땐 생활·공업용수를 20% 추가 감량한다.
지난 12일 기준으로 저수율 28%인 보령댐은 지난 6월 21일에 관심 단계에 진입하고 7월 25일에 주의 단계에 진입해 하천유지용수를 50% 감량해왔다.
이번에 보령댐이 경계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이날부터 가동하는 도수로는 금강에서 하루 최대 11만5000t의 물을 끌어다가 댐에 공급한다. 도수로에서 공급하는 수량은 보령댐의 생활·공업용수 수요량(하루 약 24만4000t)의 47%에 이른다.
아울러 환경부는 보령시와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벼 등 주요 작물의 농사가 점차 마무리되는 다음달 6일부터 보령댐에서 공급하는 농업용수 실사용량의 30%를 감량할 계획이다.
환경부 소관 34곳 댐 중에서 현재 주의 단계 이상인 곳은 이번 보령댐과 용수전용댐인 운문댐으로 총 2곳이다. 지난 12일 기준으로 저수율 41%인 운문댐은 6월 3일 관심 단계를 시작으로 28일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운문댐에서 공급하는 하천유지용수와 농업용수를 탄력적으로 감량하고 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현재(12일 기준) 다목적댐 20곳의 평균 저수율은 각 댐별로 담수를 시작한 예년 평균에 비해 108.1%, 용수전용댐 14곳 경우 예년 대비 97.4%로 대부분의 댐이 정상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며 "저수율이 비교적 낮은 보령댐 등 일부 댐의 용수 수급 상황을 세심하게 관리해 국민들의 물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