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지포인트 공지.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머지포인트 애플리케이션이 ‘먹튀 논란’에 휩싸였다. 머지포인트는 식음료점과 편의점 등에서 '무제한 20% 할인'을 내세워 큰 인기를 끌었으나 포인트 판매를 돌연 중단하고 사용처를 대거 축소했다. 현재 머지포인트 본사에는 환불받으려는 이용자 수백명이 각지에서 몰려들고 있다.
13일 이용자들은 이미 결제한 포인트를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감과 신종 사기가 아니냐는 의심 때문에 본사를 찾아가 대면 환불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간밤 내내 사옥에서부터 수백 미터의 줄을 서서 기다리며 환불 합의서를 쓰고 결제금액을 일부라도 돌려받으려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에서 몰려든 이용자들로 본사 일대는 한때 긴 주차 줄이 늘어서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해자들이 모인 '머지포인트 피해자' 카페에서는 본사를 당장 찾아갈 수 없는 지역의 사용자들이 합의서를 대필해줄 수 있냐는 문의가 속출하고 있다. 현장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은 수고비를 제시하고 대필 거래를 제안하고 있으며, 실제 일부 환불에 성공한 사람들은 온라인상에서 후기를 공유하고 있다. 온라인상에는 간밤 내내 "지금 가도 되냐", "현장 상황을 공유해달라", "지하철 첫차를 타고 간다"는 글이 계속 올라왔다.
앞서 머지플러스는 지난 11일 머지포인트 서비스를 축소 운영한다고 공지했다. 머지플러스는 "머지플러스 서비스가 선불전자지급 수단으로 볼 수 있다는 관련 당국 가이드를 수용해 당분간 적법한 서비스 형태인 '음식점업' 분류만 일원화해 축소 운영된다"고 밝혔다. 이어 "전자금융업 등록 절차를 서둘러 행정절차 이슈를 완전히 해소하고 4분기 내에 더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예고했다. 환불을 원하는 고객에게는 환불 신청 페이지로 접수해 순차적으로 90%를 환불하겠다고 밝혔으나 처리 기간에 관한 안내는 없었다.
금융당국은 서비스 형태로 볼 때 머지포인트가 선불전자지급 수단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위법성(전자금융업 미등록 영업)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머지플러스가 전자금융법 등에 따라 등록한 업체가 아니어서 이번 사용처 축소 운영과 관련한 금감원의 조처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머지플러스는 '대표자의 편지'를 게시해 "관련 당국과 몇 차례 추가 논의가 있었다"며 "최종 결론은 위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를 임시로 축소해 적법성을 갖춤과 동시에 전자금융업 등록 절차를 빠르게 진행해 앱 내 서비스를 재개하는 것 등이다"고 해명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