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금융당국이 추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삐걱 대고 있다. 시중은행들이 당국 주도 플랫폼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인 공공플랫폼을 계획하면서다. 반대로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은행권 독자 플랫폼에 불참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전 금융권 대출상품을 한 눈에 보고 비교할 수 있다는 애초 취지가 무색해진다는 모양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시중은행의 독자 공공플랫폼에 불참하기로 했다. 인터넷 은행 중 참여하는 곳은 케이뱅크뿐이다. 국내 소비자금융 철수를 예고한 한국씨티은행도 참여하지 않는다.
카뱅과 토뱅은 은행권 독자 플랫폼까지 참여하게 되면 수수료를 이중으로 내야 해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이 주도하고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카카오페이와 토스가 참여 의사를 밝힌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들은 금융당국의 주도하에 만들어질 빅테크와 핀테크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민간 플랫폼에 높은 수수료를 지급해야 할 수도 있고, 추후 플랫폼에 종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은 현재 참여 여부에 대해 ‘미정’ 혹은 ‘검토 중’이라고 밝힌 상태다.
금융당국은 오는 10월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금융결제원과 각 금융협회 관계자 등이 실무 협의체를 꾸렸다.은행연합회는 이르면 12월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8월 중으로 수수료 비용을 포함해 기본 요건에 대한 협의를 마치고, 9월 제휴 금융사와 계약을 체결한다는 방침이다.
은행권은 공공플랫폼을 이용한 대환 시 수수료를 받지 않는 방향을 검토 중이다. 현재 법률검토와 시스템 개발, 플랫폼 운영비용 관련 사항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