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8.08 13:25

공공복합개발 후보지 철회 요청 잇따라… 공급 계획 차질 생기나

가산디지털단지 인근 주민들이 세종시 국토교통부에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후보지 선정 철회 요청서를 제출하고 있다. (사진=도란도래 제공)




[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정부가 2.4대책의 일환으로 발표한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에 반대하는 후보지들이 속출하고 있다. 서울 신길4구역, 가산디지털단지 역세권 등 주요 후보지에서 주민들의 사업 철회 요청이 잇따르면서 공급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후보지 선정된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단지역 인근 주민들로 구성된 ‘가산역세권 비상대책위원회 도란도래’는 지난 5일 금천구청에 철회 요청서를 냈다. 가산 역세권 일대는 1253가구 대규모 공급 예정지다. 올해 2월 2·4대책의 일환으로 처음 도입된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은 낙후 지역을 공공 주도로 개발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지난 3월 31일 신길4구역과 가산디지털단지역 역세권 등을 1차 후보지로 선정하고 총 2만5000가구 규모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1199가구 규모인 서울 신길4구역 주민들도 이날 오전 국토부에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후보지 선정 철회동의서를 추가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해당 지역 토지 소유자 가운데 55% 가량이 사업 철회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도심복합사업 후보지 56곳 가운데 부산 전포3구역(2525가구), 부산 당감4구역(1241가구), 대구 달서구 신청사 인근(4172가구) 등 지방에서도 사업 선정 철회 요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다른 지역에서도 각 후보지에서 공공재개발에 반대하는 모임인 ‘3080공공주도반대연합회(공반연)’이 결성되며 조직적인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현재까지 9곳의 비대위가 공반연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9월 20일부터 도심복합사업 예정지구 지정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주민의 10% 이상 동의를 구하면 예정지구 지정이 가능하다. 이후 주민동의율 3분의 2 이상을 확보하면 본지구로 지정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국토부는 현재까지 31곳이 10% 이상 주민 동의를 받았고, 11곳이 본지구 지정 요건인 동의율 3분의 2 이상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곳곳에서 주민반발이 거세지면서 사업 이탈 지역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커지자 국토부는 주민 설득을 통해 절차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철회를 요청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할 예정”이라며 “구역별로 사업설명회를 열고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설명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