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정부가 지난달 석탄화력발전소 전체 설비용량의 90% 이상을 매일 가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연일 계속된 폭염으로 전력수요가 급증한데 따른 것이다.
8일 전력거래소와 업계에 따르면 7월 석탄화력발전소는 전체 설비용량 35.3GW 가운데 90%가 넘는 30GW가 매일 가동됐다.
특히 지난달 27일 오후 5시에는 전국에 설치된 58기 가운데 환경개선설비 공사가 진행 중인 삼천포 6호기를 제외한 57기가 가동됐다. 이날 최대 전력 수요는 91.4GW까지 치솟아 111년 만에 가장 더운 2018년 7월 24일 92.5GW 이후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는 통상 연료가 저렴한 기저 발전인 원전과 석탄발전을 먼저 가동한 뒤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유류 발전 등의 순으로 가동한다. 전력수요가 몰리는 여름철에는 원전과 석탄 의존도가 높아진다.
앞서 정부는 8월 둘째 주 최대 전력 수요를 94.4GW로, 예비율은 최저 5.1%로 예측했다. 이에 전력수급 안정 우려가 커지자 영구 폐지한 석탄발전소(삼천포화력 1·2호기, 보령화력 1·2호기)를 재가동하는 방안까지 검토했으나 법적 근거가 명확지 않다는 이유로 실행하지는 않았다. 대신 계획예방정비 등으로 정지 상태였던 신월성 1호기와 신고리 4호기, 월성 3호기 등 원전 3기를 조기 가동한 바 있다.
지난 5일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탄중위)가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넷제로(Net Zero·총배출량-상쇄량=0)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앞서 정부가 탄중위에 제출했던 탄소 순배출량 감소 시나리오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석탄발전소 폐쇄 및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까지 모두 중단하는 안을 추가한 것이다. 탄중위가 내놓은 안은 총 3개의 시나리오로 구성됐다. 기존 정부의 1·2안에 더해 넷제로 시나리오가 담긴 3안을 추가한 형태다. 1·2안은 석탄발전을 유지하되 탄소 순배출량을 각각 2540만톤(1안), 1870만톤(2안)으로 감축하겠다는 목표가 담겨있다. 3안은 순배출량 0으로, 완벽한 넷제로를 지향한다.
1·2안과 3안의 가장 큰 차이는 전환부문과 수소부문에서 발생한다. 1안은 2050년 기준 수명이 남은 석탄발전소 7기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했고, 2안은 석탄발전은 중단하되 LNG 발전은 긴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전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가정했다. 이에 따른 전환부문 탄소 순배출량은 각각 4620만톤(1안), 3120만톤(2안)이다. 반면 3안은 석탄과 LNG 발전을 모두 전량 중단하는 방안을 가정했다. 즉 전환부문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시나리오다. 수소부문도 1·2안은 1360만톤의 탄소배출량을 반영했지만, 3안에서는 이를 그린수소로 전량 전환해 배출량 0를 제시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