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7.21 10:41

상장 밀린 카카오페이, 대규모 투자 계획 '빨간불'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카카오페이의 내달 상장 일정이 금융당국의 증권신고서 정정요구로 9월 이후로 밀리면서, 하반기 예정돼 있던 대규모 투자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 때문에 금융업계서는 금융당국의 정정요구가 기업의 사업계획까지 영향을 미친 사례라는 비판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기업공개(IPO) 일정을 이르면 9월 이후로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IPO를 진행하는 기업이 재무제표 작성일로부터 135일 이내에 납입을 포함한 상장 절차를 마쳐야 한다는 이른바 ‘135일 룰’ 때문이다. 본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정이나, 미국 투자자를 유치하는 국내 기업들도 ‘135일 룰’을 따르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당초 오는 29∼30일 기관 투자자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한 뒤 다음 달 4∼5일에 일반 청약을 받을 예정이었다. 이어 다음달 12일 상장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 16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증권신고서에 대한 정정 요구를 받으면서 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135일 룰에 따르면 카카오페이는 1분기를 기준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했기 때문에 135일이 되는 다음달 13일 안에 상장을 마쳐야 한다. 하지만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받은 상황에서 이 기한을 맞추기는 사실상 어렵게 된 것이다. 정정 증권신고서는 아직 제출되지 못했기 때문에 1분기 회계자료는 무효가 됐다. 따라서 카카오페이는 다음달 중순에나 발표될 반기 실적을 기반으로 증권신고서를 새로 작성해야 한다.
IPO 일정이 뒤로 크게 밀리면서 카카오페이의 사업계획 변경도 불가피해졌다. 당초 카카오페이는 IPO 조달자금을 토대로 하반기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디지털 손해보험사 자본확충, 결제 인프라 확장 및 후불교통 서비스 론칭 등을 추진해왔다.
금융당국의 사전예고 없는 정정요구도 논란이다. 카카오페이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는 별도의 사전 예고 없이 지난 16일 오후 2시경 공시됐다. 135일 룰에 따라 역산을 하면 카카오페이가 8월13일까지 상장을 마치려면 정정 신고서를 지난 19일까지 내야 했다. 증권 신고서는 제출한 날로부터 영업일 기준 15일 지난 후에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6일 정정요구가 들어오면서 수정할 수 있었던 시간이 4일 밖에 없었다. 증권신고서 정정과 관련해 금감원이 명확한 사유를 밝히지 않는 상황에 짧은 시간 안에 정정하기란 쉽지 않다. 일단 카카오페이는 "금감원의 정정 요구에 성실히 임할 것"이라고 밝힌 상황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촉박하고 두루뭉술한 정정 요구로 카카오페이는 단순히 상장 일정 변동 뿐 아니라 하반기 계획된 전체적인 비즈니스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됐다"며 "이런 일이 반복되면,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 쿠팡과 같이 우리 기업들이 해외증시로 눈을 돌리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