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인한 경기 회복세 등을 고려할 때 금리를 올리기엔 이르다는 판단에서다.
한은은 15일 서울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연 0.50%로 유지했다. 작년 7월, 8월, 10월, 11월과 올해 1월, 2월, 4월, 5월에 이어 아홉 번째 동결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일주일째 1000명대를 기록하는 등의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가 예상보다 길어지면 경기 회복 속도가 기대보다 늦어질 수 있다. 특히 국내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심화할 경우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내수 회복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가 내놓은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보면 민간소비는 올해 2.8% 증가하며 반등하지만, 이는 2020년(-5.0%)의 절반 수준의 회복이다.
지난 7일 한국개발연구원(KDI)는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변이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되고 감염병 확진자 수도 급증함에 따라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며 "6월 말 이후 코로나 19 확진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향후 경기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확산 변수가 단기에서 중장기적 변동 요인으로 가는지를 봐야 한다"며 "코로나가 올해 말까지 이어진다고 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연내 금리 인상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 확산세가 지속될 경우 실물 경제 회복이 더뎌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의 예상과도 일치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채권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00명 중 89명이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하지만 금융 불균형 심화와 물가 상승을 감안하면, 기준금리 인상 등 추가 대책 기대감은 여전한 상황이다. 1700조를 넘어선 가계부채의 폭증과 부동산 등의 자산 가격 쏠림은 기준금리 인상의 근거로 제시된다. 또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 같은 기간에 비해 5.4%나 상승하는 등 인플레 압력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달 24일 "완화적 통화정책을 연내 적절한 시점에 정상화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