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7.10 11:28

대환대출 플랫폼 '협의체'…업권 갈등 해결책 찾을 수 있을까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금융당국이 올해 하반기 출범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을 놓고 금융업권과 핀테크 업계간에 힘겨루기가 계속되고 있다. 금융업권은 핀테크 업체가 플랫폼을 장악할 경우 종속이 이뤄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예정대로 서비스를 출범하겠다며, 금융업계 달래기에 나서고 있다. 만약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반쪽 출범이 이뤄질 수 있어, 어떤 결론이 나느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와 관련해 각 주체들의 의견을 청취 중에 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7일 금융권 협회 및 주요 금융사 관계자들과 화상 회의를 열고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핀테크 업체의 조건을 정하는 협의체 구성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체는 금융결제원이 간사를 맡고 각 금융업권에서 추천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이 협의체의 핵심 업무는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자 선정의 평가 기준을 만드는 것이다.
아직 구체적인 형태나 방향 등이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금융권에서는 이 협의체가 까다로운 평가항목을 내세워 핀테크 업체 진입장벽을 높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에서 금융 소비자가 은행, 보험 등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를 한 눈에 비교하고 금리가 낮은 곳으로 바꿀 수 있는 서비스다. ‘모든 가계대출’을 쉽게 갈아타도록 해 서민들의 이자 부담을 줄자는 취지로 금융당국이 만든 역점 사업 중 하나다.
협의체 구성이 논의된 이유는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대해 금융업권의 반발이 갈수록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업권은 금융당국의 도입 취지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다만 관련 플랫폼이 핀테크 업체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이 불만이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쉽고 간편한 절차를 통해 대출을 갈아 탈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물론 금융 제공자에게도 매력적이다. 대환대출에 들어가는 수수료를 아낄 수 있다면 그 만큼의 여력을 대출 금리 인하에 쏟아 부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대출 금리에서 경쟁력이 생기면 모든 금융사가 참여하는 대출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가 더 쉬워지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업권에서는 핀테크 기반의 대환대출 플랫폼으로 금융의 주도권을 뺏기고 종속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핀테크 주도 플랫폼 사업의 대안으로 공공기관이나 금융 주체들이 주도하는 ‘제3 플랫폼’이 나올 경우 참여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협의체가 구성되면 금융업권의 반발도 잠재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할 수 있는 핀테크의 조건을 금융업계 스스로 정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수수료 등 민감한 내용도 협의체를 통해 논의가 구체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