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겸 국무총리가 7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 인근 거리에서 '2m 거리두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김부겸 국무총리 페이스북)
[세종=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김부겸 국무총리는 8일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시점에 대해 "우선 이번 주말까지는 지켜 보겠다는 입장을 (정부가) 밝혔다"며 "일요일(오는 11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논의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일일 신규확진자 수가 역대 최다치에 근접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오는 가운데 정부는 조금 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프로그램 '김종배의 시선집중'과 인터뷰를 갖고 "며칠은 좀 더 (확진자 수) 추이를 지켜봐야 될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6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212명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다치(1240명·2020년 12월24일)에 육박한 데 이어 전날 확진자 수는 이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미 4차 대유행이 시작됐다는 판단 아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하루빨리 격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김 총리는 "(4차 대유행이 시작됐다고) 단정할 순 없다"며 "전문가들이 최악의 시나리오도 (정부에) 주문하고 있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그것만 생각할 수 없다"고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그러면서 "현재로선 항상 바이러스보다 대응이 조금씩 늦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며 "지금까지 우리 국민이 개인방역과 백신접종을 가속화해서 이걸 극복해온 이 방식을 지금은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7월부터 방역조치를 완화한 새 거리두기 개편안을 적용하려던 계획이 지나치게 일렀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국민의 일상생활이 너무 힘들다는, 자영업 하는 분들의 어려움이 강하게 여기저기서 호소가 들어왔다"며 "그래서 조금씩 다음 단계로 가보자고 만지작거렸다가 지금 바로 바이러스에 다시 공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최근의 확진자가 폭증한 주 요인으로 '활동량 증가'를 꼽았다. 그는 "활동량 증가와 코로나19 확산은 정확하게 비례한다"면서 "대학생들이 방학에 들어갔고 해외에서도 유학생이 들어오는 등 여름철에 젊은이들의 활동량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활동량이 왕성한 젊은층에 백신 접종을 서둘렀어야 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방역당국 입장에서는 바이러스에 걸렸을 때 가장 위험한 고위험군, 중증 혹은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분들(고령층)을 보호하는 것이 국가가 우선해야 될 일"이라고 반박했다.
문제는 당장 이번 달 백신수급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김 총리는 "7월 중 1000만회분 준비가 돼 있고, 8~9월에는 7000만회분이 준비돼 있다"며 "이번에 이스라엘과의 백신 스와프를 통해 들어온 물량은 수도권에 우선 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나머지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백신 스와프 등 수급 계획이) 진행되는 것은 없다"며 "있다고 하더라도 몇십만 도즈로는 당면한 상황에서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털어놨다.
세종=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