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07.03 18:09

日 수출규제 2년…소부장 100대 품목, 대일 의존도 6.5%p 감소

[세종=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시행 2년 만에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 100대 핵심 품목의 대일 의존도가 31.4%에서 24.9%로 낮아지고, 시가총액 1조원 이상 소부장 중소·중견기업도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소부장 경쟁력 강화 2년 성과'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 규제 대상이었던 3대 품목인 불화수소, 불화 폴리이미드, 극자외선(EUV) 레지스트에 대한 일본 의존도가 크게 낮아졌다.
올해 1~5월 불화수소 수입액은 460만달러로 지난 2019년 같은 기간 2840만달러 대비 83.6% 감소했다. 불화폴리이미드는 대체 소재인 UTG 채택을 통해 대일 수입이 사실상 전무했다. EUV레지스트도 벨기에산 수입이 12배 늘어나는 등 특정 국가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났다.
100대 핵심 품목의 대일 의존도 역시 2년 새 31.4%에서 24.9%로 6.5%포인트 감소했다. 이들 품목의 대일 의존도는 그동안 지속해서 줄어들었지만 2019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가 약 3배 빨라졌다.
소부장 산업 전체에서도 일본 의존도는 16.8%에서 15.9%로 0.9% 포인트 하락했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도 3.1%포인트 줄어 공급망 다변화에 진전이 있었던 것으로 산업부는 평가했다.
정부는 소부장 생태계 내 '연대와 협력'이 확산된 점도 주요 성과로 꼽았다. 수요·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한 정부 연구개발(R&D) 과제 사업을 통해 매출 3306억원, 투자 4451억원, 고용 3291명, 특허출원 1280건의 성과를 낸 것으로 집계했다.
범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과 수요기업의 협력을 바탕으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도 빨라졌다. 소부장 상장기업의 총매출액은 2019년 1분기 대비 올해 1분기 20.1% 증가해 상장기업 전체 평균 매출액 증가율(12.7%)을 크게 웃돌았다.
소부장 분야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전체 산업 대비 2.7배에 달했다. 시가총액 1조원 이상 소부장 중소·중견기업은 2019년 13개에서 31개로 늘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