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급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심부전 위험 44% 줄여…의원급 참여 동기 부족은 '숙제'
치료연속성 높여 의료전달체계 개선하고 진료비도 줄여…대상 질환수 늘리고 참여 인센티브 강화해야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원급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만관제)의 효과가 입증됐다. 심부전 환자의 위험도(HR)가 44% 감소하고 급성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위험도 각각 25%씩 줄어들어든 것이다. 반면 더 많은 의원급이 만관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부여가 부족하다는 점은 문제로 꼽혔다. 전문가들은 만관제 대상 만성질환 수를 늘리는 한편, 참가 환자 당 의료기관에 직접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제도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만관제가 고혈압 합병증 줄이고 치료연속성 높여 2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 연세대 의과대학 등 연구팀은 오는 8일 '만관제로 인한 고혈압 환자의 합병증 위험 영향' 연구를 대한의학회지(JKMS)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보험서비스 데이터를 사용해 총 82만7577명의 환자 중 10만2831명의 만관제 참여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만관제 참여 환자들은 비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