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영 교수 "가정혈압 측정·관리 중요…이뇨제 포함 3제복합제 '안전' 기반으로 처방해야"
"정확한 혈압 기반의 처방 이뤄지려면 '7·2·2' 최우선, 적어도 10번 이상 측정 권고...의사도 환자 상태 맞춤형 처방 필요"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약 1207만명, 국내 성인 인구 28%가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65세 이상에서는 유병률이 50%를 넘어서고 있다. 고혈압 환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치료율도 나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혈압이 목표치 이내로 강하·유지되는 조절률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 같은 이유로 최근 2제 이상의 항고혈압제 병용처방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 대한고혈압학회가 발간한 고혈압 팩트시트 2021에 따르면, 2제 이상 병용처방은 59.4%로 단일 약제 처방 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중 2제 병용은 43.4%, 3제 이상은 16.0%로 분포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이해영 교수는 메디게이트뉴스와 인터뷰에서 최근 고혈압 진료 현황과 변화하는 가이드라인(지침) 등을 소개하면서, 환자별 맞춤 처방·병용요법 후 모니터링·사후관리와 함께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삶의 질 높이고 의료비 절감…초고령 사회 목표혈압은 '130/80mmHg 미만' 오는 11월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