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텍, 글로벌 빅파마와의 기술이전 계약 매년 증가…1조원 넘는 거래 절반 달해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국내 바이오제약기업들이 글로벌 기술이전을 위해 활발하게 연구개발(R&D)을 이어기고 있는 가운데, 최근 빅파마와의 대규모 기술이전이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 체결된 기술이전 계약 5건 가운데 4건이 빅파마와의 계약이었고, 그 중 2곳은 신규 거래라는 점에서 향후 더 많은 기업의 기술이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메디게이트뉴스가 2022년 이후 국내사의 기술이전 거래 계약 내역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다국적 제약사와의 계약이 15건 이뤄졌고, 그 중 총 계약 규모가 1조 원이 넘는 거래는 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약 건수 역시 2022년 2건에서, 2023년 3건, 2024년 6건, 2025년에는 5월 기준 4건으로 계속 증가했고, 특히 올해 계약 규모 총합은 이미 2024년 수준을 넘어섰다. 대상 기업 수를 보면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Bio)가 ▲암젠(Amgen) ▲존슨앤드존슨(J&J) ▲오노약품공 2025.05.23
알테오젠헬스케어-알토스바이오로직스 합병…'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로 새 출발
알테오젠의 자회사인 '알테오젠헬스케어'와 '알토스바이오로직스'가 20일자로 양사간 합병을 완료하고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라는 새로운 사명 아래 통합법인으로 공식 출범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합병은 의약품 유통·영업 및 마케팅 역량을 보유한 알테오젠헬스케어와, 임상개발 및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한 알토스바이오로직스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알테오젠헬스케어는 현재 유착방지제, 성장호르몬, 그리고 국내 최초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제품인 ‘테르가제주’를 유통하고 있다. 알토스바이오로직스는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현재 국내 및 유럽(EMA)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다. 또한, 자체적으로 개발 중인 이중항체 기반 안과질환 바이오베터 'OP-01'을 신규 파이프라인으로 보유하고 있다. 현재 테르가제주는 국내 주요 병원의 약사위원회(DC)를 통과하면서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고,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는 지속적인 판권계약을 진행하고 2025.05.22
한국로슈-뉴클리에이트,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및 인재양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로슈와 뉴클리에이트(Nucleate)가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및 인재양성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뉴클리에이트는 차세대 바이오텍 리더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학생 주도의 비영리 단체다. 2019년 하버드 바이오텍 클럽(Harvard Biotech Club)의 학생 주도 프로그램에서 시작해, 현재는 전 세계 20개국 이상에서 41개 챕터를 운영 중이며 120개 이상의 학술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바이오 및 에코 기술 기반 창업을 지원하는 글로벌 버츄얼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Global Virtual Accelerator Program)을 포함해 약 15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 이머징 챕터(Korea Emerging Chapter) 1기를 출범하며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번 협약식은 앞으로 주요하게 협력해 나갈 한국 이머징 챕터 운영진이 함께 참여해 이뤄졌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한 2025.05.22
로비큐아, 5년 PFS 60% 데이터로 압승…"이를 뛰어넘는 ALK 폐암약 개발 당분간 어려울 것"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CROWN 임상시험에서 로비큐아(Lorviqua, 성분명 롤라티닙)가 2세대 역형성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TKI)를 얼마나 뛰어넘는지 보여줬기 때문에 게임은 끝났다고 볼 수 있다. 5년 무진행 생존율(PFS)이 60%에 달한 만큼,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이 2세대 TKI의 2배를 뛰어넘지 않을까 기대된다. 앞으로 상당 기간 이 만큼의 효능을 증명하거나 뛰어넘는 약을 개발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까 생각한다." 국립암센터 혈액종양내과 한지연 교수가 21일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ALK 양성 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로비큐아의 1차 치료 건강보험 급여 확대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로비큐아는 3세대 ALK TKI로, 다른 ALK 저해제에 대한 내성 유발 돌연변이를 억제하고 혈액뇌장벽(BBB)을 통과해 치료 농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2022년 5월 ALK 양성 전이성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제로 2025.05.21
오토텔릭바이오, ATB-320 호주 1상 IND 승인 및 코스닥 상장 본격 추진
오토텔릭바이오가 신약 후보물질 ATB-320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호주 벨버리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로부터 승인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이와 함께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대표주관사로 키움증권과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에 본격적으로 상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IND 승인으로 오토텔릭바이오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TB-320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는 공개, 다기관, 1상 임상 시험을 호주 선샤인코스트대병원(Sunshine Coast University Private Hospital)에서 진행한다. ATB-320은 혈관신생 억제와 면역 활성화의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진 ASO 항암신약 후보물질로, 비임상 연구를 통해 췌장암 1차 치료제와의 병용 투여 시 우수한 항암 효능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오토텔릭바이오는 이번 임상1상 시험을 통해 ATB-320의 인체 내 안전성과 약물반응을 면밀히 평가하고, 향후 임상 개발 단계를 위한 중요한 데이터 2025.05.21
한국머크 바이오파마, 사업부명 '한국머크 헬스케어'로 변경
머크(Merck KGaA)의 의약품 사업부 한국머크 바이오파마가 21일부로 ‘한국머크 헬스케어(Merck Healthcare Korea)’로 사업부명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브랜드 전략을 바탕으로 헬스케어 사업부로서 정체성을 재정립함으로써, ‘새로운 발견을 통한 인류 발전(Sparking Discovery, Elevating Humanity)’이라는 기업 비전을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머크는 전 세계 65개국에서 약 6만2000명이 근무하는 과학기술 중심기업으로, 헬스케어(Healthcare), 라이프사이언스(Life Science),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 등 3개의 비즈니스로 운영되고 있다. 이 가운데 헬스케어 사업부는 ‘환자를 위한 한 마음(As One for Patients)’이라는 목표 아래 혁신 치료제 및 지능형 디지털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한국머크 헬스케어는1989년 설립 이후 36년간 국내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 개선에 힘써왔으며, 면역항암, 2025.05.21
아이진, 엠브릭스의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기술 도입
아이진이 20일 엠브릭스로부터 차세대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기술 'MBT-002' 도입을 위한 기술이전 및 글로벌 판권 계약을 체결하고, 보툴리눔 톡신에 대해 전세계 독점 개발 및 판권을 소유하게 됐다고 21일 밝혔다 MBT-002는 기존 제품 대비 확산이 적고 독성이 낮아 부작용 위험이 현저히 낮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발현 시간이 빠르며, 효과의 지속 기간이 길어 기존 제품 대비 탁월한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이다. 특히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생산되며, 이는 기존 보톡스 제조 방식과 달라 관련 특허 및 균주 이슈에서도 자유롭다는 강점을 지닌다. 이러한 기술적 차별성은 아이진이 보툴리눔 독소 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경쟁력이 될 전망이다. 아이진 관계자는 "이후 한국비엠아이와 협업해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국비엠아이는 이미 보툴리눔 톡신대량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다년간 축적된 공정 기술 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개발 협업에 대한 시너지가 2025.05.21
바이엘 코리아, 폐동맥고혈압 치료제 '아뎀파스' 요양 급여 인정
바이엘 코리아가 폐동맥고혈압 치료제 '아뎀파스(성분명 리오시구앗)'가 6월 1일부터 요양 급여가 인정된다고 21일 밝혔다.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르면 아뎀파스는 세계보건기구(WHO) 기능분류 단계 Ⅱ∼Ⅲ에 해당하는 폐동맥고혈압 환자(WHO Group I)로 진단이 확인된 환자로서 ERA(엔도텔린 수용체 차단제) 및 PDE-5 억제제 폐동맥고혈압 약제에 반응이 충분하지 않거나 ERA 및 PDE-5 억제제 폐동맥고혈압 약제에 모두 금기인 경우에 대해 요양 급여가 인정된다. 폐동맥고혈압은 심장에서 폐로 혈액을 운반하는 폐동맥 내의 혈압이 상승해 폐동맥이 두꺼워지고, 폐의 혈액 순환이 저하되는 질환으로, 전체 폐고혈압의 3%에 해당하는 희귀난치성 질환이다. 폐소동맥의 증식과 폐쇄로 압력이 증가해 폐소동맥 쐐기압 15mmHg 이하 폐혈관 저항 2wood units 초과로 진단된다. 40대 후반의 중년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심장이나 폐 질환 등의 특별한 이유 없이 호흡 곤란, 만성 피로 2025.05.21
"렉라자 병용요법, 단순한 약제 조합 넘어…EGFR 폐암 1차 치료 대세는 병용요법이 될 것"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최근 열린 유럽폐암학회 연례학술대회(ELCC 2025)에서 MARIPOSA의 최종 전체 생존기간(OS)의 상세 데이터가 공개돼 국내외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이 연구는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 단독요법과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을 평가한 3상 임상시험이다.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은 타그리소 단독요법 대비 사망 위험을 25% 감소시켰고, OS 중앙값은 최소 12개월 이상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증상 발현까지의 시간(TTSP) 역시 렉라자 병용군에서 43.6개월, 타그리소군에서 29.3개월로, 14개월 이상의 연장됐다. 이러한 결과를 두고 학회에서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 최적화 방안: TKI 병용요법의 시대는 도래했는가'를 주제로 토론이 펼쳐졌다. 타그리소 단독요법에 비해 병용요법의 부작용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단독요법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의견과, 생존 혜택을 극 2025.05.21
리제네론이 23앤미 인수에 나선 까닭은…10년 이상 운영한 유전학 센터와 시너지 기대
[메디게이트뉴스 박도영 기자] 올해 3월 파산을 신청한 유전체 기업 23앤미(23andMe)를 인수할 구원투수로 리제네론(Regeneron)이 나섰다. 리제네론은 23앤미의 개인 유전체 서비스와 연구 서비스 사업 부문, 관련 자산을 인수함으로써 23앤미의 모든 소비자 유전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방침이다. 리제네론은 파산 경매에서 23앤미 인수 입찰에 성공했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파산 법원과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으면 리제네론은 23앤미의 개인 유전체 서비스(PGS), 건강 및 연구 서비스, 바이오뱅크를 포함한 자산 대부분을 2억5600만 달러에 인수할 수 있다. 23앤미는 리제네론의 자회사로 계속 운영된다. 23앤미는 한때 시가총액 60억 달러(약 8조8000억 원)에 달했던 대표적인 소비자 직접(DTC) DNA 검사 기업이었으나, 검사 수요 감소와 개인 정보 유출 사태로 하락세를 걸었다. 수차례 인수 입찰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파산에 이르렀다. 리제네론은 중증 질환 2025.05.21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유튜브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