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건복지부 30일 내 의약품 목표 가격 설정…일부 바이오시밀러 기업에는 기회로 작용할 것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인의 약값 부담을 줄이는 등과 관련한 행정명령에 서명함에 따라 국내 제약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각) 미국인과 납세자를 위한 의약품 가격 인하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인이 특정 의약품에 지불하는 가격은 다른 OECD 국가 가격 대비 3배 이상 높다"며 "미국은 전 세계 인구의 5%도 안 되지만, 전 세계 제약 수익의 약 4분의 3을 부담하고 있다. 불균형은 제약사가 외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제품을 큰 폭으로 할인하고, 그 손실을 미국 내 높은 가격을 통해 보전하도록 조장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사는 외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자사 제품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미국에서는 고가 판매를 통해 보전했다"며 "미국인은 제약사 수익과 외국 의료 시스템을 보조금 형태로 지원하는 셈"이라고 부연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은 더 이상 다른 선진국의 저가 의약품을 보조하고, 동일한 제품에 대해 미국 내에서 과도한 요금을 지불하는 상황에 처해서는 안 된다"며 "최혜국 가격(most-favored-nation price) 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 세계의 무임승차를 즉각 종식하려는 조치를 취할 것이며, 제약사가 미국 소비자에게 최혜국 최저가격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행정부는 추가적이고 공세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행정명령에 따르면 보건복지부(HHS)는 행정명령 발효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의약품 목표 가격을 설정해 제약사에 전달해야 한다. 제약 기업은 미국 정부와 협상을 통해 약값을 자진 인하해야 한다. 자진 인하 기한은 180일이며, 이후에는 정부가 강제적인 약값 인하에 돌입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처방 약과 의약품의 가격이 즉시 50% 인하될 것"이라며 "많게는 90% 인하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국내 제약 업계는 미국의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바이오시밀러 기업에서는 일부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하지만, 전통 제약사 입장에서는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확실한 게 아직 없다"며 "관세 발표도 지속적으로 바뀌고 있고, 행정명령 관련해서도 구체적으로 정해진 게 없다"고 밝혔다.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약값 인하로 기술이전한 신약에 대한 로열티·마일스톤 수령 금액 감소에 대해 "약값이 떨어지면 처방 횟수나 판매액이 일시적으로 줄어들 수는 있지만, 반대로 진입장벽이 낮아진다"며 "약값이 저렴한 만큼 부담 없이 처방할 수 있다"고 답했다.
또 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30일의 기간이 있고, 아직 세부적으로 약의 카테고리나 실행 방안이 결정된 게 없어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며 "아직 그 어떤 것도 속단하긴 이르다"고 언급했다.
국내 제약사가 행정명령에 촉각을 세우는 가운데, 바이오시밀러 기업에는 일부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셀트리온은 "이번 행정명령이 바이오시밀러 제조사에 더 나은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중간 유통 구조 단순화에 따른 기회 ▲고가 의약품 약가 인하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처방 가속화 기회 ▲병행수입 및 포트폴리오 확장의 기회 등을 기회 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특히 셀트리온과 같이 미국 현지에서 바이오시밀러를 직판 중인 기업에는 또다른 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미국이 발표한 이번 행정명령이 글로벌 제약사의 한국 패싱을 유도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기존에도 한국 기업의 낮은 약값으로 신약 도입이 늦어졌는데, 미국의 최혜국 가격 정책이 이를 부추길 수 있다는 입장이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