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이 급감하면서 필수의료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소아청소년과는 103명 지원에 그쳤고, 전체 전공의 수는 141명에 불과하다"며 "이는 정원 대비 17.4% 충원률로, 내과·외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 등 다른 필수과와 비교해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10년간 꾸준히 감소세를 보였고, 특히 2024년 3월과 비교해도 40.3% 줄었다"며 "정부의 일방적 정책과 실효성 없는 필수의료 대책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낮은 진료 수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학회 관계자는 "지난해 말 전공의·전문의 대상 설문에서 90%가 낮은 경제적 보상을 지원 기피 이유로 들었다"며 "의료사고 및 법적 분쟁에 대한 부담도 응답자의 80% 이상이 꼽은 문제였고, 저출산으로 인한 환자 감소 역시 70%가 기피 요인으로 지목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지원 기피를 심화시키고 있다. 학회는 "이는 단순히 충원율 문제가 아니라, 향후 소아청소년 응급·중증 질환 대응과 만성질환 관리, 나아가 지역 기반 의료 체계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신호"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2025년 수련실태조사에서는 전국 93개 수련병원 중 24시간 응급진료가 가능한 곳이 4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는 "수도권은 47.1%, 비수도권은 45.0%로 큰 차이가 없고, 지방에는 아예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없는 지자체가 58곳에 달한다"며 "아이들의 응급 상황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운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학회는 ▲‘어린이·청소년 건강기본법(가칭)’ 제정 ▲소아청소년 의료 전담 부서 신설 ▲진료 수가 현실화와 재정 지원 확대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피해자 구제 제도 개선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학회 관계자는 "저출산 위기는 단순한 인구정책 문제가 아니다. 태어난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의료 환경을 보장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더 늦기 전에 정부와 관계기관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