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5.09.05 06:41최종 업데이트 25.09.05 06:41

제보

소아청소년과학회 "정원 대비 전공의 충원률 17.4%...필수과 중에서 가장 낮아"

93개 수련병원 중 24시간 응급진료 가능한 곳 절반 그쳐...낮은 경제적 보상 기피 이유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이 급감하면서 필수의료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소아청소년과는 103명 지원에 그쳤고, 전체 전공의 수는 141명에 불과하다"며 "이는 정원 대비 17.4% 충원률로, 내과·외과·산부인과·응급의학과 등 다른 필수과와 비교해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10년간 꾸준히 감소세를 보였고, 특히 2024년 3월과 비교해도 40.3% 줄었다"며 "정부의 일방적 정책과 실효성 없는 필수의료 대책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낮은 진료 수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학회 관계자는 "지난해 말 전공의·전문의 대상 설문에서 90%가 낮은 경제적 보상을 지원 기피 이유로 들었다"며 "의료사고 및 법적 분쟁에 대한 부담도 응답자의 80% 이상이 꼽은 문제였고, 저출산으로 인한 환자 감소 역시 70%가 기피 요인으로 지목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지원 기피를 심화시키고 있다. 학회는 "이는 단순히 충원율 문제가 아니라, 향후 소아청소년 응급·중증 질환 대응과 만성질환 관리, 나아가 지역 기반 의료 체계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신호"라고 경고했다.

실제로 2025년 수련실태조사에서는 전국 93개 수련병원 중 24시간 응급진료가 가능한 곳이 4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회는 "수도권은 47.1%, 비수도권은 45.0%로 큰 차이가 없고, 지방에는 아예 소아청소년과 의원이 없는 지자체가 58곳에 달한다"며 "아이들의 응급 상황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운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학회는 ▲‘어린이·청소년 건강기본법(가칭)’ 제정 ▲소아청소년 의료 전담 부서 신설 ▲진료 수가 현실화와 재정 지원 확대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피해자 구제 제도 개선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학회 관계자는 "저출산 위기는 단순한 인구정책 문제가 아니다. 태어난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의료 환경을 보장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 책무"라며 "더 늦기 전에 정부와 관계기관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