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310:38

김한중 전 총장 "의대·의대생이 먼저 정상화 방안 내놔야…의료계 폐쇄성·소통 부족 아쉬워"

학교·학생이 먼저 안 내놓고 정부가 필요한 지원 하는 형식 필요…여야는 정쟁에만 몰두하고 언론은 편향된 보도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김한중 연세대 전 총장이 13일 의정갈등이 장기화된 주요 원인으로 '의료계의 폐쇄적 소통과 감정적 대응'을 꼽았다. 리더십이 불안한 상태에서 국민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해 의료계가 대중과 멀어졌다는 것이다. 김한중 전 총장은 이날 대한의학회 학술대회 기조강연 과정에서 "현재 상황에서 가장 급한 것이 의대생 복귀다. 이를 위해 정부가 할 일도 있지만 당사자는 학교와 학생들"이라며 "학교마다 상황이 다르다. 모든 것을 정부가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각 학교, 학생이 정상화 방안을 먼저 만들고 필요한 지원을 정부가 하라는 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전 총장은 "전공의와 의대생은 사직과 휴학 등 강경 투쟁만 반복했고 구체적 메시지 없이 SNS로 간헐적 소통을 시도해 국민과의 거리감만 키웠다"며 "의사협회는 리더십이 불안정했고 비상대책위원회는 경쟁적으로 등장했다 사라졌다"며 "환자의 불안에 대한 공감 부족도 지적되며 분노와 폐쇄성, 소통 방식의

2025.06.1309:48

이진우 의학회장 "의정갈등 해결위해 의료계 통일안 필요…내부 의견차이 인정, 절대 굴복 아니야"

새 정부 공공의대·공론화위 등 의료계에 또 다른 도전…의료계에 필요한 것은 개인 의견 존중하는 것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이 13일 의정갈등 해결을 위해 "의료계 내부 직역간 합의되고 통일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그는 의료계 내부 의견차이를 인정하는 것이 절대 정부에 굴복하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의료계 내부에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한다"며 의정갈등을 해결하는데 의료계 내부 의견 차이를 문제 해결의 걸림돌로 꼽았다. 이진우 회장은 이날 오전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의학회는 의료 정상 회복을 위해 원칙과 철학을 지키며 임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자율성 확보, 의개특위, 전공의 수련과 병역 특례 등 긍정적 검토를 이끌었다"고 입을 뗐다. 이 회장은 "그동안 정부와 의료계 사이 인식 차이가 확연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어떤 소득이 있다고 보인다. 이 소득은 투쟁 보다 대화를 통해 얻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취

2025.06.1213:17

"의대정원 최소 5000명 선 유지하고 공공의대 권역별 신설"…의료사고 입증책임 전환도 건의

국회 건강과돌봄인권포럼·시민·환자단체, 새정부 추진 보건의료 정책 논의…의대증원 늘리며 공공병원·지역의사제 병행 주장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의대정원을 최소 '5000명 선'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부터 권역별로 '공공의대와 부속병원을 신설'해야 한다는 다양한 보건의료 정책 과제들이 새 정부에 건의됐다. '국회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포럼'과 경실련, 보건의료노조, 한국노조, 환자단체연합회는 12일 오전 '새 정부가 추진해야 할 보건의료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회 건강과 돌봄 그리고 인권포럼은 이수진(대표 의원)·김윤(건강책임연구위원), 서미화(인권책임연구위원)·전진숙(돌봄책임연구위원)·남인순·김선민·김영배·박희승·임미애·전종덕 의원이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준회원은 한정애·박주민·강선우·권향엽·김남희·장종태·한창민 의원 등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남은경 사회정책팀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의사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의대 입학정원을 5000명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또한 의대가 없는 지자체나 지방국공립대학에 의대가 없는 곳은 공공의대 및 병원을 신설해 의료자원을 확충해야

2025.06.1117:59

부산시의사회가 이국종 원장을 복지부 장관으로 추천한 이유…"의사·국민 모두 동의할 수 있는 인물"

장차관 국민추천제가 요식행위 아니라면 적임자는 이국종 원장…의대생·전공의 이해하고 의정사태 해결할 수 있는 인물 [메디게이트뉴스 하경대 기자] 부산시의사회가 11일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을 추천했다. 의료계에서 공식적으로 나온 첫 복지부 장관 추천 인사다. 앞서 이재명 정부는 보건복지부 장·차관을 비롯한 공공기관장을 국민추천제로 선발한다고 밝혔다. 부산시의사회는 이날 '부산광역시의사회 보건복지부 장관 추천서'를 인사혁신처에 제출했다. 이국종 원장 추천을 주도한 부산시의사회 김보석 부회장은 메디게이트뉴스와 통화에서 "국민과 의사들 간의 갈등을 좁히고 극단으로 치닫는 의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복지부 장관이 필요한 때"라며 "마침 민주당에서 장·차관급 추천을 받는다고 했다. 요식행위가 아니라면 국민과 의사들이 모두 원하고 동의할 수 있는 장관 후보자는 이국종 원장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현재 조규홍 장관은 의료를 잘 모르는 인물로 정부와 의료계 사이 중재자로서 역할을 잘 하지 못했던 것 같다. 지금은 의료 현장을 정말 잘 알고 현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이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