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도 한의학은 난공불락
과학적으로 표준화된 임상 데이터가 없다
한의학에서도 인공지능을 활용해 임상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지만 비과학화, 비표준화가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지 않은 한의학은 인공지능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 되고 있다. 한약진흥재단이 주관하고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훈, 남인순 의원이 주최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한의임상정보화포럼'이 28일 국회에서 열렸다. 이날 포럼에서는 한의학도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인공지능과 결합해 한의임상 발전을 위해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표준화 불가능한 한의학, 인공지능은?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연구하는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 대량의 표준화된 데이터가 기본이다. 가천대 길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한 인공지능 '왓슨'은 뉴욕의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MSKCC)의 데이터 베이스와 290여종의 의학저널 및 문헌, 200종의 교과서, 1200만 쪽에 달하는 전문자료 등을 습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