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20.04.20 07:10최종 업데이트 20.04.20 12:19

제보

일본 의료수가 2배 인상 왜 나왔나...코로나19 의심환자 기피, 구급차가 80개 병원 전전

의료진·보호장비 부족으로 의료시스템 붕괴 직전...중환자실 병상 부족, 확진자 늘면 더 심각한 상황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임솔 기자] 일본 아베 신조 총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 확진환자 급증으로 의료시스템 붕괴 직전에 놓이자, 건강보험 체계의 의료수가(診療報酬)를 2배로 올리고 의사와 간호사의 처우를 개선하겠다고 발표했다. [관련기사=아베 총리, 코로나19 환자 급증에 특단의 대책..."의료수가 2배 인상해 의사·간호사 처우 개선하겠다"]

일본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병상수 규모가 1위이고 의료시스템이 잘 갖춰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본이 이렇게까지 의료시스템이 붕괴 직전에 놓인 이유는 무엇일까.

19일 NHK, 니케이 등 일본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일본은 병원 의료진과 장비 부족으로 코로나19 의심환자를 기피하고, 코로나19 확진환자를 받는 병원들은 환자 급증에 따른 과부하로 다른 응급 질환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가 크다. 

일본은 이날 하루 374명의 감염이 확인돼 코로나19 확진환자는 총 1만1506명으로 늘어났다. 도쿄는 6일째 확진환자 100명 이상씩 늘어 확진환자 3082명이 됐다. 누적 사망자수는 일본 내 사망자 236명과 크루즈선 탑승자 12명을 합쳐 총 248명이다. 치명률은 2.16%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병원들은 민간병원들까지 대부분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 빅5병원 등의 의료진이 생활치료센터에 파견돼 경증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맡았고, 확진환자들은 전국 병원에 분산돼 과부하를 막았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갑자기 환자가 늘어날 경우를 대비해 의료진과 중환자실, 보호장비 등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코로나19 의심환자 병원 기피, 80개 병원에서 전전 

우선 일본 병원들은 코로나19 의심환자가 늘어나자 발열,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들을 기피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진환자와 접촉되면 의료진이 자가격리되고 보호장비 자체도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CNBC 등에 따르면 최근 일본에서는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한 응급환자가 구급차를 타고 80개 병원을 전전하다가 도쿄의 한 병원에서 겨우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다른 발열 환자도 구급대원을 통해 40개 병원에 연락을 취한 다음에서야 겨우 응급병실을 내주는 병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 환자들이 병원에 도착하더라도 격리실에서 대기하고 코로나19 검사결과가 나와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일본 응급의학회는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많은 병원들이 의심환자를 기피하는 현상이 생기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응급실에서 뇌졸중, 심장마비, 외상 등 응급 환자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은 건강보험 시스템을 운영하고 국민들에게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본의 병상수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의료진과 장비가 부족한 상태다. 병원 내 감염으로 의료진이 자가격리되면서 의료진 부족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더 큰 문제는 보호장비가 부족해 의심환자를 제대로 치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본 의료진 노동조합은 “의료진이 N95마스크를 재사용하고 있다. 사용하지 않은 비옷을 가운 대신 입기도 한다”라며 “정부는 고위험수당을 지급하고 충분한 보호장비를 지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일본의료협회 요시타케 요코쿠라(Yoshitake Yokokura) 회장은 “보호복, 마스크, 안면보호구 등이 충분하지 않아 의료종사자의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 코로나19 환자 치료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급성의학협회와 응급의학협회는 공동 성명을 통해 "일본 의료시스템 붕괴는 한정된 응급의료체계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더 이상 정상적인 응급 치료를 수행할 수 없다"고 했다. 

중환자실 부족하고 의료장비도 부족, 앞으로가 더 문제  

더 큰 문제는 현재 일본의 확진환자가 1만여명이지만 앞으로 훨씬 더 심각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는 우려다. 코로나19 의심환자와 확진환자들이 대거 병원에 입원하면서 의료시스템에 부담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후생노동성은 뒤늦게라도 경증 환자는 집에 머무르길 권고하고 호텔 등을 이용해 병원의 병상을 비우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또한 병원들이 코로나19 의심환자를 받아 예방활동을 수행하면 별도 의료수가 300점을 임시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일본병원회는 “중증 환자에게 인공호흡기나 에크모를 장착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중증 환자들에게는 의사를 포함해 많은 의료종사자를 배치해야 한다"라며 "그러다 보니 코로나19 외에 응급 환자 진료는 축소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아베 총리가 중환자실과 응급실 위주로 코로나19 환자를 진료하면 진료수가 2배를 책정하겠다는 발표도 여기서 나왔다. 실제로 일본은 중환자실(ICU)도 부족하다. 인구 10만명당 중환자실 병상수는 독일 30병상, 미국 35병상, 이탈리아 12병상 등이 있지만 일본은 5병상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수가 인상책은 코로나19 중환자실의 경우 하루 입원료 8만~14만엔(약158만원)에서 16만~28만엔(약316만원)으로 하루 입원료만 최대 300만원 이상 지원한다는 정책이 나온 것이다.  

일본집중치료학회 노시무 오시스(Nosimu Osish) 회장은 "독일의 사망률이 1%지만 이탈리아 사망률이 10%가 넘는 이유 중의 일부는 중환자실 병상 부족 때문이다. 일본 역시 확진환자가 늘어나면 사망률이 늘어날 수 있다"라고 했다. 

가와고 사이트마 종합병원 오카 히데야시(Oka Hideyoshi) 감염내과 교수는 니케이신문 기고에서 “병원에서 확진환자가 나오면 진료가 중단되는 위기에 빠진다”라며 “정말 긴급한 수술과 처치가 아니라면 연기해야 한다. 경증 환자는 진료를 삼가야 한다. 워낙 보호장비가 부족하다보니 의심환자들이 검사를 원해도 신중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병원 내 감염도 문제다. 무증상 감염도 있고 PCR검사의 한계도 생길 수 있다. 감염자를 100%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며 “각 병원들의 의료진과 직원들이 적절한 감염예방책을 실시해 병원 내 감염을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임솔 기자 (sim@medigatenews.com)의료계 주요 이슈 제보/문의는 카톡 solplusyou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