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황서율 기자]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하는 용산지역의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균형발전 통합계획'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서영주 한국여성건축가협회 부회장은 21일 한국건축단체연합 주최로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에서 열린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따른 발전방안 토론회에서 "기존 도시의 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마스터플랜(균형발전 통합계획)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며 "서측으로는 경부선 지하화, 동측으로는 이태원·한남동 재개발, 남측은 수변 개발 등과 맞물려 총괄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홍성용 대한건축사협회 편집국장 역시 “심도깊은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며 “반환되지 못한 미군 시설들을 국내로 반환하는 등에 대한 협상과 토의가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권영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용산지역 발전방안으로 ▲용산정비창 계획 수립, ▲경부고속도로·KTX 지하화, ▲스마트시티 조성, ▲수변공간 활용 등 네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용산 개발을 가로막았던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용산의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권 교수는 특히 경부고속도로와 KTX 철도의 지하화를 강조했다. 그는 "용산의 경우 KTX와 미군부대 때문에 동서방향이 단절된 역사가 있다"며 "용산이 스쳐가는 공간이 아니라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되려면 인프라를 지하화하는 과정이 고려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국방부 자리로 이전하는 것과 관련해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장세정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역사적으로 국방부 자리는 일제시대에도 사령부 관사 및 군인들의 숙소가 있었던 만큼 중요한 장소로 쓰이진 않았다"며 "청와대 이전이 급히 결정됐는데 긴 안목에서 볼 때 다른 장소를 고려할 필요도 있다"고 주장했다.
청와대 부지의 경우 상징성을 극대화하는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서 부회장은 "청와대 개방을 통해 서촌-북촌이 어우러지도록 하고, 세종로-경복궁-청와대-북한산의 흐름이 연결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지한 대한건축사협회 이사는 “청와대는 문화적 스토리가 충분하고 주변에 역사가 오래된 가게도 산재 돼 있어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전면적 규제 완화를 통한 무분별한 개발이 아니라 서촌-한옥 문화 틀을 기반으로 지구단위 계획으로 유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언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