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측은 18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하게 소통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청와대 만남과 관련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며 "국민들 보시기에 바람직한 결과를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은 지난 16일 만날 예정이었지만 불발된 바 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 간 실무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으며 불협화음을 냈기 때문이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양측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면과 한국은행 총재 등 인사권을 두고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윤 당선인 측이 "긴밀하게 소통 중"이라는 입장을 낸 것은 이날 오전 문 대통령 측에서 먼저 만남을 제안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해석된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윤 당선인과의 회동에 대해 "빠른 시일 내에 격의 없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하는 자리를 갖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의 문은 늘 열려있다"며 "(회동을 위해) 무슨 조율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이 윤 당선인 측을 향해 어떤 주제든 논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만큼 다시 회동 날짜를 못 박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구 권력간의 대립이 장기화 되는 것은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모두 부담스러운 만큼 협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서는 양측이 주요 의제에 대해 물밑에서 어느정도 의견 접근을 이뤄낸 것 아니냐는 추측도 제기된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측근들에게 "당선인 측의 공약이나 국정운영 방안에 대해 개별적 의사 표현을 하지 말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SNS나 언론을 통해 개인적 의견을 드러내지 말라는 의미다.
이는 탁현민 의전비서관이 전날 윤 당선인의 청와대 이전 공약을 비판한 것에 대한 질책성 지시로 해석된다. 탁 비서관은 페이스북 글에 "여기(청와대) 안 쓸 거면 우리가 그냥 쓰면 안 되나 묻고 싶다"며 "좋은 사람들과 모여서 잘 관리할 테니"라고 적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