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송승섭 기자] 앞으로 변동금리로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금융사의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늘리도록 행정 지도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건전성 강화를 위해 분할상환 대출비중도 확대할 계획이다.
1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 대출구조 개선 촉진 세부방안’을 예고했다. 방안에는 고정금리 취급비중 목표치를 52.5%로 지난해보다 2.5%포인트 높이는 내용이 담겼다. 비거치식 분할상환(원금균등분할상환·원리금균등분할상환) 대출비중도 2.5%포인트 오른 60%로 설정됐다.
이번 방안은 금융당국이 지난해 10월 공개한 ‘가계대출 관리 강화방안’의 후속조치다. 금융위원회는 가계대출의 질적 건전성을 위해 비거치식 분할상환 확대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대출이 늘어나면 부실로 돈을 못 갚는 상황이 발생해도 금융사 손해가 줄어든다. 고정금리 대출 역시 금리상승으로 인한 부실리스크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올해부터는 개별 주택 담보대출에도 목표치를 부여한다. 목표치는 연말 잔액 기준 82.5%다. 고정금리 취급 목표치는 68.5%다. 단 전세자금·중도금·이주비 대출은 제외된다.
2금융권도 분할상환 대출비중 확대지도를 받는다. 보험업계의 주담대 분할상환 대출비중 목표치는 67.5%(전년대비 2.5%포인트 증가)다. 고정금리 취급 비중도 2.5%포인트 오른 55%다. 상호금융권의 주담대 분할상환 목표치는 5%포인트 올라 45%로 설정됐다.
영업점 성과지표 개선안도 행정지도 예고에 포함됐다. 가계대출 실적에 따라 평가하던 방식을 폐지하고, 수익성과 건전성 지표를 보강하게 된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