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2.03.12 17:00

청년희망적금 바톤터치…尹표 '청년도약계좌' 관심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현 정부가 추진한 '청년희망적금'이 예상을 뛰어넘는 흥행을 보인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지난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청년 분야 공약 중 하나로 청년도약계좌를 추진키로 했다.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19~34세 청년이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일정액을 저축할 경우 정부가 매월 10~40만원을 추가로 적립, 10년 만기로 1억원을 만들어주는 상품이다.
예컨대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최대 월 납입액은 30만원으로 제한되고 정부로부터 월 최대 40만원까지,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일 땐 최대 월 납입액은 50만원으로 제한되고 정부로부터 월 최대 20만원을 지원 받을 수 있다. 연소득이 4800만원을 넘어서는 경우 정부로부터 지원금을 받을 순 없지만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진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들은 투자운용형태를 본인의 판단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생애최초 주택 구입, 장기실직, 질병 등에 의한 장기휴직, 재해 등의 경우 중도인출 및 재가입이 허용된다. 단, 재정으로 지원하는 유사 제도와의 중복가입이나 지원은 불가능하다.
금융권에선 현 정부가 내놓은 청년희망적금도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만큼 윤 당선인의 청년도약계좌도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고 있다. 윤 당선인의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연소득 3600만원 이하를 대상으로 한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연소득에 따른 제한이 없는데다, 10년간 받을 수 있는 지원규모도 수 천 만원에 육박하는 까닭이다.
실제 고금리에 정부의 저축장려금(1년차 납입액 2%, 2년차 4%)이 붙는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최종 가입자가 약 290만명으로 당초 예측치인 38만명 대비 7배 이상으로 늘어나기도 했다.
다만 업계에선 청년도약계좌로 인해 부담이 커질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정부가 재원을 모두 마련한다면 부담은 크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은행과 분담에 나설 수 있는 까닭이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도 가입자 수가 예측 대비 대폭 늘면서 은행권에선 6000~8000억원 안팎의 추가 비용이 소요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나 최근엔 희망자에 한해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를 허용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청년층 금융소비자들을 묶어 둘 수 있는 효과 등이 있기는 하지만 비용을 고려하면 배보다 배꼽이 크단 지적도 나온다"면서 "청년도약계좌의 핵심은 재원 마련인데,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 될 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전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