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시절보다 코로나19 사태에서 은행별로 '충당금'(대손준비금과 대손충당금을 합한 금액 기준) 적립액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8일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금융위기 충격이 계속됐던 2010년 기준 은행들은 각사별로 위기에 대비해 지금보다 충당금을 최대 1조원 이상 더 많이 적립해 놓고 있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2010년 9월말 기준 5조59억원까지 쌓아뒀었다. 우리은행도 2011년 3월 기준 4조5626억원을 가지고 있었다. 코로나19 사태가 터진지 2년째 였던 지난해 9월 기준 각각 3조8691억원(국민), 3조3057억원(우리)이었던 것과 대조하면 1조1368억원, 1조2569억원씩 많은 금액이다.
2010년 연체율 1% 훌쩍 넘어
현재는 역대최저로 0.2%
김상봉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위기 때보다 코로나 시국인 지금 연체율이 낮아져서 생긴 결과"라며 "이번에도 금융위원회가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과 원리금·이자 상환유예를 6개월 연장해준 탓에 은행들은 손실보상능력을 키울 이유가 없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이 조사한 국내은행의 연체율을 보면 2010년 월별 연체율은 1%를 훌쩍 뛰어넘는 상태가 지속됐다. 지난해 말 역대 최저 수준이었던 0.21%과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은행별 대손충당금만 따로 떼서 봐도 지난해 줄어들었다. 작년 12월 말 기준 은행별 대손충당금은 국민은행 1조4352억원, 신한은행 1조3540억원, 우리은행 1조1890억원, 하나은행 1조2410억원이었다. 하나은행만 1년전보다 415억원 증가했고, 국민은행(-53억원), 신한은행(-904억원), 우리은행(-1270억원)은 줄었다.
"은행들 손실흡수능력 충분하게 보이는 착시 효과 없애야"
은행들의 대손충당금 총액은 감소했지만, 당국의 소상공인 지원정책으로 인해 부실채권 규모가 크게 줄어들어 '대손충당금 적립률(부실채권 대비 총대손충당금 잔액 비율)'은 높아졌다는 것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부실이 감춰줘서 은행들의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게 보이는 착시효과를 불러왔기 때문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코로나19 지속상황에서 국내은행의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률(부실채권대비)은 2019년 말 112.1%에서 2020년 말 138.3%로, 지난해 9월말에는 156.7%까지 높아졌다.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오미크론으로 인해 코로나 19가 빨리 종식되지 못하면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영업 환경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여 대손충당금적립률은 오히려 오인을 유도하는 지표일 수 있다"며 "금융당국은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을 탄력적으로 운용하고 특별 대손충당금을 유도 할 수 있는 정책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