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한국이 코로나19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물가를 가급적 자극하지 않으면서 경제 활동을 최대한 정상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정책목표가 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6일 보험연구원의 '팬데믹 이후 주요국 경제 회복의 특징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통계가 확보된 34개국(노르웨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칠레 제외) 중 우리나라를 포함한 총 20개국에서 2021년 국내총생산(GDP)이 2019년 수준을 상회하고 있어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그러나 민간소비의 경우 우리나라를 포함한 23개국이 2021년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ECD 회원국 중 34개국의 실질 GDP와 민간소비의 최근 추이를 보면 많은 국가들이 GDP보다는 민간소비의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34개국 중 미국, 덴마크, 이스라엘 등 9개국은 2021년 GDP와 민간소비가 모두 2019년 수준을 상회한 반면,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 등 12개국은 GDP, 민간소비 모두 2019년 수준을 밑돌았다.
우리나라와 호주, 네덜란드 등 11개국은 실질 GDP는 회복했으나 민간소비는 2019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으며, 불가리아와 아이슬란드 등 2개국은 실질 GDP가 회복되지 않았음에도 민간소비는 회복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민간소비는 일반 국민의 체감 경기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 변수이고, 코로나19에 따른 방역조치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지표인 만큼 관련 추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GDP는 회복돼도 민간소비는 회복되지 않은 경우가 반대의 경우보다 많은 것으로 볼 때 주요국들은 민간소비 회복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많은 국가들의 정책 목표는 전체 GDP보다 일반 국민들과 직접 관련된 민간소비의 회복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우가 많았다"며 "재정 정책도 정부소비의 증가보다는 소득 보조를 통한 민간소비 증가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연구위원은 민간소비 증가와 물가 상승과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한국을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민간소비 증가 대비 물가 불안 정도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진단했다.
우리나라보다 물가 상승률은 낮으면서 민간소비 증가율이 높게 나타난 국가는 이스라엘, 스웨덴, 영국, 프랑스 등 8개국에 달했다. 반면 우리나라보다 물가 상승률은 높고 민간소비 증가율이 높은 국가는 독일, 네덜란드, 라트비아 등 5개국에 그쳤다.
이 연구위원은 "민간소비 회복과 관련한 재정 및 물가 여건을 국가 간 우열을 단순비교하는 방법으로 판단할 때 우리나라는 재정악화보다는 물가불안을 경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리나라보다 물가 상승률은 낮으면서 민간소비 증가율이 높게 나타난 국가들이 반대의 경우보다 많은 것으로 미뤄보면 내수 회복이 물가를 더욱 자극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