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2일 HMM과 관련해 "공적자금을 회수한다면 투입한 금액의 3~4배를 거둘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HMM의 회생을 위해 7조4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 구조조정을 진행한 결과 지난해 매출 13조8000억원, 영업이익 7조원대를 기록했다.
문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해운재건 5개년 계획 프로그램은 굉장히 성공적이었다"며 "공적자금을 투입한 곳이 많았지만 HMM같은 성공 사례는 전무후무한 것 같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이같이 말했다.
문 장관은 "공적자금 회수와 관련해 현재 주가 및 상황을 고려해 적정수준을 예측하면 3배~4배 정도 자금을 회수가능 할 것"이라며 "관계 부처와 협의해 비경영권 지분의 단계적 정리 및 회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HMM은 2020년 2분기 36분기 연속 적자에서 벗어난 데 이어, 해운재건 계획 시행 이전 362%였던 부채비율이 5분의 1수준인 72%로 낮아졌다"며 "기업신용등급은 투기 등급인 'BB'이하에서 투자 적격 등급인 'BBB-'로 개선돼 기업 자체 자금조달이 가능한 수준"이라며 구조조정의 첫 성공적인 사례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다만 문 장관은 민영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그는 "KDB산업은행이나 해진공 등이 갖고 있는 비경영권 지분 정리와 주식화 등 민영화에 앞서 진행할 과제가 있다"며 "향후 2~3년 동안 경영 여건 안정화 시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해운재건 1기 계획이 HMM의 안정화로 성공적인 마무리를 한 가운데 다음달 해운산업의 중장기 발전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사실상 해운재건 2기로 넘어가는 것으로 문 장관은 "업계 특성상 언젠가는 올 불항에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성장전략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해수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해운업계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했다. 문 장관은 "현재 이들이 정상 운항 중이지만 스위프트(SWIFT) 제재가 된다면 선사들이 영업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수출입 물류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과 관련해 수산어업계의 피해 우려에 대해서는 "보상 대책을 충분히 마련해 어민과 관련 업계 종사자들이 피해를 느끼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