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업데이트 21.12.14 06:00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사업 4곳 추가…총 618가구 공급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서울시가 주택 공급을 위해 역세권을 고밀·복합개발하는 '역세권 활성화사업' 신규 대상지 4곳을 추가로 선정했다. 이를 통해 총 618가구의 주택을 공급한다. 또 오는 2027년까지 100개소에 대한 인허가를 완료해 총 2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를 통해 상시 접수된 대상지에 대해 선정위원회를 개최한 결과 ▲마포구 합정역 ▲영등포구 당산역 ▲동작구 이수역 ▲강남구 논현역 주변을 역세권 활성화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입지요건을 만족하는 역세권 토지의 용도지역을 주거지역에서 상업지역 등으로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는 지역에 필요한 생활서비스시설과 공공임대시설로 확충하는 사업이다. 민간사업자는 사업성을 높일 수 있고, 공공은 지역에 필요한 시설을 확충할 수 있다.
이번 신규 사업지 4곳은 서울시가 신청방식을 상시접수로 변경한 이후 두번째로 선정된 곳들이다. 지난 9월에는 1차로 3개소를 선정한 바 있다. 이로써 서울시가 2019년 사업을 도입한 이후 20곳에서 역세권 사업을 본격 추진하게 됐다.
시는 매년 20개소 이상 신규 대상지를 선정해 2027년까지 약 100개소에 대한 사업 인허가를 완료한다는 목표다. 1개소당 공공시설 2000㎡ 및 주택 200가구 공급이 예상된다. 이를 통해 도심형 주택 2만 가구와 공공시설 20만㎡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들은 모두 역사가 신설돼 대응이 필요하거나 상업·업무기능 강화, 가로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이다.
마포구 합정역 주변은 민간기업 입주를 위한 업무시설을 확충한다. 공공기여시설로서 청년창업지원시설을 조성해 입주기업과 연계한 멘토링 클래스, 지역에 필요한 공공체육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영등포구 당산역 주변은 일대 노후·저이용 부지를 개발해 도심형 주거공간을 제공하고, 공유오피스와 도서관 등 지역필요시설을 확충한다.
이 외에 동작구 이수역 주변은 청년·신혼부부 등 실수요계층을 위한 소형주택을 공급하고, 인접 대학과 연계해 창업지원시설을 운영하고 공영주차장을 조성하기로 했다. 강남구 논현역 주변은 가구·인테리어 특화산업 역량을 강화하는 공공지원시설을 조성하고 지역에 필요한 도서관과 주민 휴게공간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4개 사업지의 민간 사업주체가 제시한 계획안에 따르면 4개 역세권에 총 618가구의 신규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다. 아울러 용적률 상향을 통한 공공기여분으로 3~4인 가구 등에 대응하는 장기전세주택 10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최진석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역세권에 각종 생활 인프라가 확충되면서 시민들이 실질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주택공급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지역의 상업지역 지정을 통해 지역균형발전 효과도 거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